-AI·온라인 플랫폼 노동 등 변화한 노동환경 반영
[시사투데이 = 이한별 기자] 여성가족부는 ‘여성의 경제활동 및 경력단절 실태조사’를 이달 26일부터 9월 5일까지 실시한다.
이번 조사는 여성의 경제활동 실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여성 경제활동 촉진과 경력단절 예방 정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한 국가승인통계로 2013년 제1차 조사 이후 3년마다 실시한다. 올해로 다섯 번째다.
조사 대상은 전국 17개 시·도 만 19~54세 여성이 포함된 7500가구다. 조사 방법은 통계청의 전문 조사원이 표본 가구를 직접 방문하는 면접조사 방식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기존 만 25~54세 여성에 한정했던 조사 대상을 처음으로 만 19세까지 확대해 청년층을 포함한 전 생애주기의 여성 경제활동 실태를 파악한다.
또한 올해 조사에서는 기존에 결혼·출산·육아·가족 돌봄에 한정했던 조사범위를 근로조건까지 확대하고 인공지능(AI) 확산, 온라인 매개(플랫폼) 노동 증가, 재택·원격근무 확대 등의 문항을 신설했다.
이를 통해 여성의 노동 전반에 걸친 문제와 해법을 모색하고 변화하는 고용형태와 기술발전 속에서 여성들이 어떤 기회와 제약을 경험하는지, 경력 유지와 고용 안정성을 위해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 등을 다각도로 분석할 예정이다.
여가부는 내년 상반기에 조사 결과를 토대로 청년층부터 중·장년층, 노년층까지 전 생애주기에 걸친 여성 고용정책을 개발·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조민경 여가부 여성정책국장은 “이번 조사는 빠르게 진화하는 디지털 전환과 새로운 고용 형태 등 변화된 노동환경과 법제도에 맞춰 조사 범위와 항목을 확대했다”며 “표본가구의 적극적인 참여와 정확한 응답이 성평등한 고용환경 조성에 큰 밑거름이 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