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투데이 = 이한별 기자] 올해 11월 13일 목요일 전국 1310개 시험장에서 55만4174명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른다.
정부는 55만여 명의 수험생이 수능에 원활하게 응시할 수 있도록 당일 아침 교통 혼잡을 줄이고 시험시간 중에는 시험장 주변 소음을 방지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당일 안정적 시험 시행을 위한 지원대책’을 21일 국무회의에서 보고했다.

올해 수능은 내달 13일 오전 8시 40분부터 오후 17시 45분까지 전국 85개 시험지구 1310개 시험장에서 실시된다. 응시자는 전년보다 3만1504명 증가한 55만4174명이다.
수능 당일 아침 수험생이 교통 혼잡으로 시험장에 늦게 도착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관공서·기업체 등에 출근 시간을 오전 10시 이후로 조정하도록 협조 요청한다. 또한 수험생 등교 시간대(오전 6시~8시 10분)에 수도권 지하철 운행 대수를 늘리고 경찰서 등 행정기관의 비상 수송차량을 수험생 이동 경로에 배치해 이동 편의를 지원한다.
시험장 주변의 교통 혼잡 예방을 위해 수능 당일 시험장 200m 전방부터 차량 출입이 통제되는 만큼 수능 당일 자차를 이용하는 수험생은 시험장 200m 전방에서 내려 걸어가야 한다.
아울러 3교시 영어영역 듣기평가 진행 시간(13:10∼13:35, 25분간)에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항공기·헬리콥터 이착륙 시간을 조정하고 포 사격 및 전차 이동 등 군사훈련을 잠시 중단한다.
듣기평가 시간대 이외에도 수험생이 시험장 주변 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시험장 주변을 지나는 버스·열차 등은 서행하고 경적 사용을 자제하도록 했다. 시험장 주변 행사장, 공사장 등의 생활소음도 최대한 자제할 것을 당부한다.
수험생은 11월 7일부터 기상청 누리집(www.weather.go.kr)에서 시험장 날씨 정보를 미리 확인해 기상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시도에서는 기상 악화에 대비해 도서·벽지 수험생 수송 대책, 제설 대책 등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17개 시도교육청은 안전한 시험 환경 조성을 위해 이달 13일부터 31일까지 전체 시험장을 대상으로 안전 점검을 실시한다.
수능 당일 지진 발생에 대비해 지진 상황을 상시 점검하고 전체 시험장의 정보 전달 체계를 구축해 지진 발생 시 대처 요령에 따라 빠르게 대응하도록 한다.
교육부는 경찰청, 시도교육청과 함께 문답지 보안 관리를 위한 철저한 경비체계를 마련하고 모든 시험지구에 교육부 중앙협력관을 파견해 문답지 관리를 지원한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그동안 수험생들이 갈고닦은 실력을 온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모든 부처와 함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며 “수험생 여러분은 건강에 유의하며 마음 편히 시험 준비에 전념하시길 바란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