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제조업체들의 자금부담 경감을 위해 정부비축물자 대여제도에 정부기관 최초로 민간투자기업인 파생상품이 도입된다.
조달청은 국제원자재 가격 변동에 따른 제조업체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정부비축 원자재의 대여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파생상품을 도입한다고 지난 5월 7일 전했다.
조달청이 비축제도에 파생상품을 도입하기로 한 것은 근래 원자재 가격 변동 폭 확대로 인한 손실위험을 일정한도 내에서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원자재 가격이 높거나 자금이 부족한 시기에 원자재를 대여 받아 사용한 후 가격이 낮은 시점이나 자금여건이 좋은 시점에 상환하면 제조업체들은 저렴한 가격에 원자재를 구매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대여제도에 파생상품을 활용하면 제조업체들이 원자재를 빌려가는 시점에 파생상품을 연계해 상환 시점에 가격이 상승해 손해가 발생해도 손해의 범위가 일정한도 내로 억제돼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신희균 국제물자국장은 “정부 기관에서 민간 투자 기법을 도입한 것 자체가 의미 있는 일”이며 “원자재 수급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소제조업체들이 좀 더 저렴하게 원자재를 공급받을 수 있는 대안으로 활용됐으면 한다”고 했다.
정명웅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