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년 상반기 국내석유제품 소비는 고유가 영향에 따른 내수시장 위축으로 전년동기대비 3.9% 감소한 3억 8427만 배럴을 기록했다.
제품별로는 전년동기대비 경유 6.9%, 벙커-C유 26.4%, 나프타 0.6%, 항공유는 6.1% 감소한 반면 휘발유, 등유 및 LPG는 각각 0.2%, 12.5%, 5.8% 증가했다.
특히 경유는 국내가격 급등에 따른 유류값 부담 가중, 화물연대파업 등으로 수송부문 경유가 크게 감소하는데 힘입어 6천 787만 배럴을 소비했고 6월에는 전년동월대비 25.8%나 소비가 감소했다.
한편 휘발유는 국내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소비가 증가해 3천 25만 배럴을 기록했는데 이는 휘발유 차량증가로 인한 수송부문 소비 증가에 따른 것이나 휘발유 국내가격 급등에 따른 도로부문 휘발유 차량 1대당 소비량을 살펴보면 작년 11월부터 소비가 감소세로 전환돼 실질적으로 휘발유 소비는 감소 추세에 접어 든 것으로 파악됐다.
부문별로는 전년동기대비 산업 0.8%, 수송 4.5%, 발전 52.5% 감소한 반면 가정상업은 5.8%증가했는데 산업부문은 부탄의 석유화학원료 사용 증가로 6월 소비가 전년동월대비 3.1%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고유가에 따른 나프타, 벙커-C유, 경유 소비 감소로 전년동기대비 0.8% 감소한 2억 1097만 배럴을 소비했다.
수송부문은 제품가격 급등 및 화물연대파업 영향으로 경유, 벙커-C유, 항공유 소비가 감소해 전년동기대비 4.5% 감소한 1억 2614만 배럴을 기록했다.
발전부문은 고유가에 따른 벙커-C유 가격상승으로 LNG발전단가 대비 가격경쟁력 약화로 전년동기대비 52.5% 대폭 감소한 8백 만 배럴을 소비했다.
원유수입은 고유가에 따른 정유사의 낮은 재고 운영, 내수시장 부진 및 정제시설 보수 등으로 인한 원유처리량 감소로 전년동기대비 1.2% 감소한 4억 3406만 배럴을 수입했다.
이지혜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