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21세기 프론티어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 고상석 박사팀(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항체치료제연구단)이 췌장암과 관련된 파프(PAUF) 유전자의 발암성을 규명하고 이 유전자를 표적으로 췌장암 치료용 항체를 개발해 렉스바이오 주식회사에 기술을 이전하였다고 발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파프 유전자는 대다수의 췌장암 환자에서 발현이 증가되는데 이렇게 증가된 파프는 췌장암의 진행 및 전이를 촉진한다.
연구팀은 파프 단백질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완전인간 단일클론 파프 항체를 개발했고 생쥐를 대상으로 한 항암효과 측정실험에서 췌장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췌장암은 사망률이 매우 높은 치명적인 암으로 알려져 있으며 5년 생존율이 4%에 불과한데 이는 췌장암이 초기 진단이 어렵고 전이율이 높으며 기존의 화학요법이나 방사선요법에 저항성을 나타내어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췌장암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최근 암 치료제 개발의 패러다임은 정상세포에는 손상을 주지 않고 암 세포만을 선별적으로 공격해 제거하는 표적치료법(targeted therapeutics)으로 이에 가장 부합하는 치료법은 항체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항체는 타켓에 대한 특이성(specificity)이 높아 종래의 화학치료법보다 부작용이 적고 효과적이어서 파프 항체가 암표적 치료제로 상용화될 경우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로 인한 높은 경제적 이윤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김원태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