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투데이 양영구 기자] 보건복지부와 (재)한국유전자검사평가원은 9일 삼성서울병원 본관 대강당에서 ‘유전자검사 관련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했다.최근 유전자검사 기술의 발달은 질병의 예측과 난치병에 대한 개인별 맞춤의료를 점진적으로 실현하고 있으나, 일부 무분별한유전자검사로 인해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특히 체력, 비만, 장수, 지능, 호기심 등 과학적·윤리적으로 검증되지않은 유전자검사 결과로 인해 많은 국민들이 부정확한 유전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근거로 비합리적인 결정을 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번에 개발되는 가이드라인에는 과학적·윤리적으로 자제해야 할 유전자검사, 검사기관이 갖추어야 할 최소 권장기준 등 유전자검사와 관련해 의료현장에서 자율적으로 준수해야 할 내용들이 포함됐다.
정부 관계자는 “앞으로 의료계, 학계, 유전자검사기관 등과 함께 유전자검사 가이드라인을 지속적으로 보완·발전시켜 국민들에게 보다 정확한 유전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