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성일 기자] 보건복지부는 치매환자를 중심으로 입원치료하고, 입원하지 않은 치매환자 및 일반 노인을 위해 ‘치매거점병원’을 올해 대구시지노인전문병원, 인천제1시립노인전문병원 등 7개소로 지정했다.
복지부는 치매관리법 시행에 따라 기존에 설립된 공립요양병원을 개선해 치매환자 지원 확대를 추진한다. 복지부는 올해 65세 이상 치매환자 규모는 52만명(9.1%), 2030년 100만, 2050년에는 200만 규모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치매 노인의 증가추이>
치매는 경증환자가 68%를 차지하고, 조기에 발견해 치료관리하면 진행 속도가 지연되는 만큼 조기치료관리가 중요한 질병이다. ‘치매거점병원’에서는 보건소에 등록된 경증치매환자 및 기억력이 떨어지는 일반노인을 대상으로 인지재활프로그램을 무료로 실시하며 무료치매검진사업, 지역사회 치매 관련 홍보사업 등 조기치료관리 기능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현재 운영 중인 70개 공립요양병원 중 국가치매관리사업에 참여하는 병원을 ‘치매거점병원’으로 지정해 증축, 개보수 및 의료장비 보강을 위한 예산을 지원한다.
이번에 지정된 치매거점병원의 병상수는 1,305병상이며, 이 중 80% 이상은 치매환자가 입원하는 병상으로 운영된다. 복지부는 현재 신축 중인 9개 병원을 포함해 10년 내에 전체 79개 공립요양병원을 치매거점병원으로 지정하고 공립요양병원 12,754병상 중 80%인 10,203병상을 치매환자 입원병상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치매환자가 믿고 입원할 수 있는 질 높은 요양병원의 확대는 물론 입원하지 않은 지역사회 경증치매환자와 치매를 걱정하는 노인들을 위해 실질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