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35세가 넘는 임신부는 임신중독증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최근 5년 동안의 ‘임신중독증’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환자는 2006년 1,865명에서 2011년 2,034명으로 나타났고, 2011년 분만여성 1,000명당 임신중독증 진료환자는 4.8명으로 매년 분만여성 1,000명 중 5명은 임신중독증에 의해 진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기준 연령별 진료환자는 30~34세가 가장 많았으나 분만여성 1,000명당 진료환자는 30~34세 4.5명, 35~39세 7.6명, 40~44세 9.1명으로 35세에 이후부터는 분만여성 대비 임신중독증 환자의 발생이 급격하게 증가했다. 특히 20대는 임신중독증 진료환자가 분만여성 1,000명당 3.8명이었고, 40대는 10.1명으로 20대에 비해 약 2.6배 많았다.
최근 5년 동안의 진료형태별 임신중독증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입원 환자보다 외래 환자의 증가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30세 미만의 환자는 입원·외래 모두 감소하는 반면, 30세 이상의 환자는 입원·외래 모두 증가하는 추세였다.
임신중독증과 관련한 건강보험 진료비도 2006년 7억 6천만원에서 2011년 12억 3천만원으로 나타나 2006년보다 2011년 진료비가 60% 이상 증가했다. 입원 진료비는 2006년 1인당 78만 1999원(급여비 63만7636원)에서 2011년 118만 8230원(급여비 95만9160원)으로 연평균 8.7%(급여비 8.5%)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연령대별 임신중독증 진료현황>
임신중독증은 단백뇨를 동반하는 고혈압성 질환으로 흔히 임신중기 이후 발병하게 되며 임신이 종결되면 치유가 되는 내과적 합병증이다. 증상은 임신 전에 정상 혈압을 가지고 있던 산모에서 임신 20주 이후에 혈압이 올라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 혹은 확장기 혈압 90 mmHg 이상의 고혈압 증상을 보인다. 또한 혈압이 많이 올라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 상복부 또는 우상복부 통증이나 시력 장애, 두통이 동반 될 수도 있다.
임신중독증은 흔히 초산모, 과체중산모, 다태아 임신 그리고 35세 이상의 산모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신중독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산모의 나이가 35세 이상이거나 초산모, 기존에 고혈압이나 당뇨 등 자가 면역 질환을 가지고 있는 산모, 몸이 뚱뚱하거나 또는 쌍둥이를 임신한 산모들은 임신 기간 중 좀 더 유의해서 관찰해야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산부인과 김의혁 교수는 "임신중독증의 정도를 완화시키거나 예방하기 위해 저염분 식사, 칼슘제 복용, 생선 기름 복용 같은 식이요법과 저용량의 아스피린 복용, 비타민C나 비타민E 같은 항산화제의 복용 등 여러 연구가 시도되고 평가돼 왔다"며 "아쉽게도 현재까지 임상적으로 임신중독증의 발병률을 줄이는 효과적인 방법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다만, 임신중독증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 저용량의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것 정도가 효과가 있지 않을까 추측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