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희연 기자] 정부는 전체 인터넷 이용 인구의 7.7%(234만명)에 달하는 인터넷중독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의 유기적 협력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행안부, 문화부, 여가부, 교과부, 복지부 등 인터넷중독 유관부처들은 지난 8일 ‘인터넷중독 정책협의회’를 개최하고, 인터넷중독 정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협력방안을 마련했다.
우선 행안부, 문화부, 여가부는 그간 중복적으로 추진해 온 인터넷중독 예방교육-전문상담-치료연계 등 인터넷중독 대응 업무를 부처별 전문성에 따라 조정했다. 유아·청소년 대상 사업의 경우 예방교육은 2002년부터 생애주기별 예방교육 과정을 운영해 온 행안부 정보문화과가 인터넷중독대응센터를 통해 실시한다.
학교방문 집단상담은 문화부 게임콘텐츠산업과가 각 지역 교육청에 설치돼 있는 위(Wee)센터를 통해 실시하고, 여가부 청소년매체환경과는 청소년상담지원센터를 통해 가출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학교밖에서 집단상담을 실시한다.
또한 캠프·레스큐스쿨 등 기숙형치료와 병원치료 연계 사업은 관련예산이 가장 많고 전국 179개 병원과 협력체계가 마련돼 있는 여가부 청소년매체환경과에서 전담 추진한다. 다만, 성인 대상 사업은 예방교육부터 상담·치료연계까지 행안부 정보문화과에서 일괄 수행한다.
장광수 행정안전부 정보화전략실장은 “이와 같은 협력체계 강화를 통해, 그동안 부처 간 중복 및 연계부족 등의 문제가 됐던 인터넷중독 대응 사업이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될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