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경 기자]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조선시대에 그려진 미술작품 중 대표적인 동식물 그림을 선정해 현대의 실물 표본과 직접 비교 감상할 수 있는 ‘옛 그림 속 우리 생물’ 기획전을 6월 19일부터 내년 3월까지 10개월간 계속한다고 밝혔다.
이번 기획전은 국립중앙박물관을 비롯한 10개 기관의 협조로 조선시대 화훼·초충·영모도 114점의 이미지를 제공받아 진품과 유사한 영인본(복제품)으로 제작하고 그림 속에 등장하는 동식물의 실물 표본을 함께 전시해 이차원적 붓 그림 속 생물이 삼차원의 현실 세계로 살아나온 것처럼 연출했다.
<조선시대 마지막 궁중화가 안중식의 노안도>
기획전 전시실 중앙에 위치한 옛뜰의 툇마루와 안방에는 생물장식이 들어간 생활용품 등을 재현했고 옛 그림을 현대적으로 새롭게 해석한 디지털 영상작품(작가 이이남)도 감상할 수 있다. 옛 그림 속에 등장하는 생물은 과학적으로 검증해 당시의 화가들이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자생생물을 직접 보고 그렸는지, 혹은 주요 참고자료였던 중국 화보로부터 모사했는지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또한 우리 곁에 가까이 살아온 생물들이 그려져 있는데, 지금은 멸종위기종으로 보기 힘든 두루미가 집안 뜰에서 애완동물처럼 길러졌다는 사실로 미루어 당시의 자연환경을 가늠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자연의 아름다움과 서정성을 담고 있는 것은 물론 용맹함이나 지조, 절개 같은 선비정신과 따뜻한 정감, 익살과 해학을 느낄 수 있다.
국립생물자원관 관계자는 “이번 기획전이 미술 교과서에서 보던 대표적인 한국화를 가까이서 감상하며 우리의 전통문화 속에 깊이 자리잡아온 많은 생물의 이야기를 함께 나눠 볼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