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영희 기자] 앞으로 석유판매업(주유소) 등록 등 지방자치단체 간 금액 차이가 큰 수수료 160종에 대해 표준금액이 정해진다. 행정안전부는 ‘전국적 통일이 필요한 수수료의 징수기준에 관한 규정 개정령안’을 입법예고했다. 지금까지는 27종의 수수료에 대해서만 법령에서 표준금액을 정하고 구체적인 금액설정을 조례로 위임해 왔다. 이 결과, 동일한 민원 처리임에도 자치단체별 수수료 금액이 최대 140배의 차이가 나는 등 지역주민 간 형평성에 문제가 제기돼 왔다.
이에 행안부는 지자체의 수수료 210종에 대한 전수조사를 거쳐, 지역적으로 달리 정할 특별한 사유가 없는데도 자치단체 간 금액 차이가 큰 수수료 160종은 표준금액 징수 대상으로 추가해 총 187종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표준금액 대상은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른 게임제작업 등록신청 등 8종,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에 따른 석유판매업(주유소) 등록신청 등 8종,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른 영화업 신고 등 10종, ‘의료법’에 따른 부속 의료기관 개설 허가신청 등 4종 등이다. 단, 지역 특성을 고려해 표준금액의 50% 범위 내에서 조례로 조정(종전 10%) 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부여해 수수료의 자치단체 간 형평성을 높였다.
조정결과를 보면, 현행 시행령에 규정된 수수료 27종은 현재 수준을 유지했고, 전체적으로는 현재 자치단체가 징수하는 평균금액보다 인하(56종) 또는 동일한 금액(111종)을 유지하도록 해 국민 부담을 줄이거나 현행과 같도록 했다. 다만, 특정 지자체의 수수료가 대다수 지자체보다 현격히 낮아 평균금액이 낮게 나오는 일부 수수료는 평균금액보다 인상 됐지만, 대부분 관련 민원신청이 없어 장기간 수수료 정비를 하지 않아 영향은 거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노병찬 행안부 지방재정세제국장은 “이번 개정안은 지자체간 차이가 큰 수수료를 일괄 정비해 국민의 수수료 납부의 형평성을 제고했다. 아울러 국민의 부담도 경감되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