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영희 기자] 무더위가 이어지는 9월, 면역력이 약해지는 이때 구내염 환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의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해 ‘구내염 및 관련병변(K12)’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7년 81만2천명에서 2011년 98만9천명으로 5년간 약 17만7천명 증가(21.8%)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5.1%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2007년 199억원에서 2011년 256억원으로 5년간 약 57억원이 증가(28.7%)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6.6%로 나타났다.
구내염은 혀와 구강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혀와 구강점막은 신체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위치에 있어 신체의 내부적 변화와 외부적 자극으로부터 모두 영향을 받고,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반영하기 때문에 ‘전신건강의 거울’이라고도 한다. 뜨거운 음식을 급하게 먹을 경우 또는 음식물을 먹을 때 이로 혀나 볼 안쪽을 씹을 때 상처가 생겨 세균·바이러스에 감염되기도 한다. 또한 피로와 스트레스, 비타민(B12)·철분과 엽산의 결핍 등이 영향을 주기도 한다.
구내염의 성별 진료인원은 남성이 2007년 36만명에서 2011년 43만명으로 약 7만명 증가했고, 여성은 2007년 45만명에서 2011년 55만명으로 약 10만명이 증가했다. 2011년 기준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에 비해 1.26배 더 많고, 연평균 증가율도 여성이 약 0.4%정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내염 성별 진료인원>
진료인원을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구내염은 전 연령구간에서 약 10%초반의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2011년 기준 진료인원 점유율은 0~9세가 18.0%로 가장 높았고, 20대가 9.6%로 가장 낮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인원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의 평균수치로는 매년 6~8월에 진료인원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08년 12월, 2009년 9월에도 진료인원이 많았던 것으로 볼 때, 구내염이 여름철에만 집중된다고는 보기 어렵다. 무더위와 강추위가 지속되는 여름과 겨울의 경우, 몸이 쉽게 지치고 회복력이 둔화돼 면역력이 쉽게 떨어지기 때문에 이 기간 진료인원이 증가한다. 특히 올해는 9월 중순까지도 무더위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돼 면역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체력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구내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식습관 유지와 구강 위생을 청결히 유지하도록 힘쓰는 것이 좋다. 견과류, 과자류, 짜고 맵고 신 음식은 자극이 강하므로 가급적 피한다. 식사를 할 때는 급하게 먹거나 말을 하면서 먹을 경우 입안 상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식사는 가급적 천천히 먹고, 식사 중 말을 해야 할 때는 입안에 음식물이 없을 때 하는 것이 좋다. 휴식을 취하고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규칙적인 양치로 구강의 청결관리에 힘쓰며, 가급적 금연하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