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조주연 기자] 올해 정부민원안내콜센터인 110번으로 걸려온 보이스피싱 피해관련 상담내용을 분석한 결과, 검찰과 경찰 등 수사기관이나 공공기관을 사칭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운영하는 110정부민원안내콜센터는 지난 1월부터 8월까지 접수된 보이스피싱 관련 상담내용을 분석해 14일 발표했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보이스피싱을 통해 사칭하는 기관은 ‘검찰과 경찰 등 수사기관’이 25.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공공기관’도 6.7%로 지난해 1.7%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수사기관·공공기관 사칭’은 전체 보이스피싱의 32.2%를 차지해 전년도에 비해 50.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전년도 까지 16.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은행사칭’은 9.2%, 지난 3년간 꾸준히 증가했던 ‘자녀납치 사칭’은 전년도 9.9%에서 5%로 감소했다.
2008년 전체의 44%를 차지할 정도로 주요 사칭유형인 ‘우체국과 택배사’은 전년도 8.8%에 이어 올해 5.2%로 계속 감소하고 있다. 이처럼 과거에는 특정 유형이 주를 이뤘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유형들이 고른 비중을 차지하며 국민들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최근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3개월간 보이스피싱에 가장 빈번히 사용된 발신번호는 ‘서울지방검찰청(02-6953-6844)’과 ‘경찰청 금융범죄과(050-7788-5003)’, ‘대검찰청(02-3484-9688)’, ‘법무부(02-6304-0058)’ 등 수사 관련 기관으로 나타났다.
상담 사례를 살펴보면, 최근 급증하고 있는 검찰·경찰 등 수사기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은 주민등록번호와 연락처 등 개인정보를 파악하고 전화를 걸어오는 경우가 많아 국민들이 매우 불안해하고 있었다. 또한 단순한 기관 사칭이 아닌, 실제 은행 인터넷 사이트와 흡사한 가짜 피싱 사이트를 제작하고 접속을 유도해 개인정보를 빼내는 사례가 늘었다. 특히 연금·보험 관련 기관인 국민연금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을 사칭해 환급금을 돌려준다고 현혹해 개인정보를 빼내 또 다른 범죄에 활용하는 경우도 있어 보이스피싱 수법은 나날이 더 다양하고 정교해지고 있었다.
110 정부민원안내콜센터 관계자는 “어떤 기관에서도 전화를 이용해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요구하는 경우는 없으므로, 돈을 송금하라고 요구하는 경우 반드시 110콜센터 등 관련 기관의 상담을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