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미선 기자] 임신 중 당뇨병 환자의 비율이 20대에 비해 30대에 2~3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최근 5년간의 ‘임신 중 당뇨병’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환자는 2007년 1만 7,188명에서 2011년 4만 4,350명으로 늘었고, 2011년 분만여성 100명당 임신 중 당뇨병 진료환자는 10.5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26.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임신 중 당뇨 진료환자>
2011년 기준 연령별 진료환자는 30~34세가 가장 많았으나, 분만여성 100명당 진료환자는 30~34세 11.6명, 35~39세 16.0명, 40~44세 21.4명으로 30세 이후부터는 임신 중 당뇨병 환자의 발생이 급격하게 증가했다.
최근 5년간의 진료형태별 ‘임신 중 당뇨병’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입원 환자는 감소하는 반면 외래 환자는 급격하게 증가했다. 특히 30~34세 분만여성 100명당 임신 중 당뇨병 외래 진료환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진료비도 2007년 18억7천만원에서 2011년 33억6천만원으로 나타나 2007년보다 2011년 진료비가 약 80% 정도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산부인과 김의혁 교수는 “임신성 당뇨는 다른 당뇨병과 마찬가지로 유전적 요인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원인이 없지만, 고칼로리 과잉 섭취, 운동 부족 비만증, 스트레스 및 약물 남용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며 “35세 이상 산모에서 발생률이 높은 이유는 산모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혈액 내에서 인슐린 저항이 생겨 몸에서 인슐린의 요구량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결국 35세 이상에서는 20대 때 보다 당뇨의 발생률이 3배 이상 높아지게 된다”고 말했다.
임신 중 당뇨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이 요법과 운동을 통해 혈당을 조절 할 수 있다. 음식은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이 좋으며 과식을 피하고 칼로리 섭취를 조절해야 한다. 운동은 혈당 조절에 큰 도움을 주며 임신성 당뇨의 치료제인 인슐린을 대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운동과 식이 요법으로도 혈당이 조절이 되지 않으면 인슐린으로 혈당을 조절해야 한다. 그리고 임신성 당뇨가 있거나 있을 가능성이 더 높은 산모는 주기적으로 진료를 받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