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중이염 진료환자 절발 이상이 9세 이하의 아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6년간 ‘중이염’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6년 212만 8천명에서 2011년 250만명으로 37만 2천명이 늘어 연평균 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2006년 103만명에서 2011년 120만 1천명으로 연평균 3.1%로 증가했고, 여성은 2006년 109만 8천명에서 2011년 129만 9천명으로 연평균 3.4% 증가해 여성의 증가율이 남성보다 약간 높았다. 2011년을 기준으로 중이염 질환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율을 보면, 9세 이하가 53.7%를 차지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진료를 받았고, 다음으로 10대 10.7%, 30대 7.6%, 40대 7.1%, 50대 7.0% 순(順)으로 나타났다.
<2011년 ‘중이염’ 질환 연령별 성별 인구 10만명당 수술환자수 현황>
최근 6년간 ‘9세 이하’ 아동의 연도별 진료추이를 보면, 2006년부터 2008년까지 꾸준히 증가했으나, 2009년에는 다소 감소했다가 2010년 이후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체 진료비 대비 9세 이하 아동의 진료비 점유율은 2006년 52.0%에서 2011년 59.8%로 증가했다.
2011년 중이염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250만 명 중 9만 3천명은 수술 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진료환자 중 3.72%가 이에 해당된다. 남성은 전체 진료환자 120만명 중 3.77%인 4만 5천명이 수술을 받았고, 여성은 130만명 중 3.66%인 4만 8천명이 수술을 받았다.
중이염은 여러 가지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주로 코와 귀를 연결하는 이관의 기능장애와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 가장 큰 원인이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최현승 교수는 “중이염 환자 중 아동 9세 이하가 많은 이유는 성인에 비해 면역 기능이 미숙하고 감기와 같은 상기도 감염이 잘 생기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며 “또한 유소아 이관의 구조는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고 짧으며 수평에 가까워 상기도 감염균이 이관을 통해 중이강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 중이염에 쉽게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중이염은 계절적으로는 겨울과 초봄 사이에 많이 발병하며 6개월에서 2세사이의 유소아에서 가장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이들에서 더 많고 영양상태가 불량하거나 알레르기성 체질인 경우, 간접 흡연에 노출이 잦은 경우 더 발병이 많다.
급성 중이염은 항생제를 비롯한 적절한 약물치료를 주로 시행하고, 삼출성 중이염은 3개월 정도 경과 관찰 후에 환기관 삽입술이나 아데노이드 절제술 등을 고려한다. 만성 중이염은 적절한 약물 치료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최 교수는 “아직까지 중이염을 예방하기 위한 특별한 예방법은 없다. 보통 급성 중이염이 진행돼 만성 중이염으로 이행되기 때문에 소아의 경우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통해 병의 진행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며 “귀의 통증이나 이루(耳漏), 청각장애 증상이 발생하면 빨리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