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세미 기자] 착한가격업소가 물가안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다수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이용 고객들은 착한가격업소의 가격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내용은 행정안전부가 착한가격업소 이용고객 1,405명과 업주 706명 등 총 3,187명을 대상으로 한 착한가격업소 관련 설문조사에서 나온 결과다.
이번 설문조사를 보면, 착한가격업소 활성화가 물가안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응답자(업주제외)의 54.3%가 ‘물가안정에 기여한다’고 답했다. 착한가격업소를 이용해본 고객들의 70.8%가 ‘가격에 만족한다’고 답했고, 비슷한 비율로 서비스(69.5%)·품질(69.1%)·청결도(64.7%)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또한 착한가격업소의 48%가 지정 이후 매출이 증가했고, 이용고객의 56.5%가 ‘착한가격업소 인지를 알고 이용횟수가 증가했다’고 답해 착한가격업소 지정이 업소에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착한가격업소 이용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응답자의 65.7%가 언론·인터넷·모바일 홍보를 꼽았다.
반면, 실제 이용고객들의 69.4%는 안내책자·리플렛 또는 주부물가모니터요원의 안내로 착한가격업소에 관한 정보를 습득했다고 답해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홍보도 병행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응답자의 72.2%가 ‘착한가격업소 제도를 계속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답해, 개인서비스요금 안정관리를 위해 착한가격업소 제도가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추진해야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보균 행안부 지역발전정책국장은 “착한가격업소 활성화는 업주와 고객의 만족은 물론 물가안정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정책이다”며 “정부와 지자체는 앞으로 온·오프라인 등 다양한 홍보를 통해 착한가격업소를 널리 알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착한가격업소를 내실 있게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