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영희 기자] 교육과학기술부, 고용노동부은 30일 현장이 필요로 하는 실전능력과 창의력을 모두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직업교육·훈련 연계·협력’을 강화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금까지 고졸 취업 확대는 우리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키며 많은 공감을 얻어 왔다. 하지만 고졸시대·열린 고용 정책이 일회성에 그칠지 모른다는 불안과 능력중심 사회로 바뀌는 것이 힘들 것이라는 불신이 팽배해 있다. 또한 기업도 과거와 달리 인재 양성을 위해 학교를 찾아가는 사례가 늘어가지만, 아직 학교의 힘만으로는 기업이 원하는 수준의 교육과정을 개설·운영하는데 한계가 있어 실전형 인재 양성을 호소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은 양 부처가 상호 면밀히 협조해서 기업과 연계성이 높은 새로운 직업교육·훈련시스템을 구축해 기업이 원하는 실전에 강한 창의인재를 배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우선, 현장실무형 인재양성을 위해 현장중심 고교 직업교육 혁신을 추진하고, 폴리텍대와 한기대 등 직업훈련 전문기관의 인적·물적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해 나간다. 교과부와 고용부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 기반한 일-교육훈련-자격 연계 교육과정과 도제형 일-학습 모델 개발을 위한 시범학교 운영과 향후 모델 확산에 공동 지원·협력한다.
또한 고용부는 학력 거품의 해소, 고졸 취업 활성화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비진학 일반고 학생들의 직업교육을 위해 폴리텍대 등의 인프라를 활용토록 하고, 청년취업아카데미 등 자체 훈련사업을 지원한다. 교과부는 학위 취득 이전 산업체 경력도 대학 교수 임용 시 반영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한다.
이외에도 청소년의 올바른 직업관 형성과 직업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 교과서를 개선하고, 진로교육 활성화에 협력한다. 고용부는 현행 교과서 중 학력주의 등 왜곡된 직업관을 조장하는 불합리한 표현을 발굴하고, 교과부는 이를 토대로 교과서를 수정·보완한다
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지난해부터 진행돼 온 고졸 취업 확대 분위기는 일시적 정책 현상으로 간과할 수 없는 국가적인 중차대한 과제라는 점에 대해 정부, 기업, 국민 모두의 공감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며 “앞으로 노동시장에서 고졸자에 대한 근로조건과 근로복지 등에 대해서도 정책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추진해야 될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