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영희 기자] 국민권익위원회에서 운영하는 공익신고제도가 지난해 9월 시행된 이후, 담배꽁초 무단투기나 교통신호 위반 등 각종 기초생활질서에 대한 위반사항을 스마트폰이나 차량 블랙박스로 동영상 녹화해 신고하는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9월 공익신고자 보호제도 시행된 이후, 지난 10월말까지 1년간 권익위를 통해 접수된 공익신고 1,216건 중 블랙박스나 핸드폰 동영상 등의 증거를 활용해 신고한 사건은 총 346건으로, 전체 신고 건수의 28.4%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신호위반>
<중앙선침범>
동영상 신고는 주로 중앙선침범․신호위반 등 안전운전의무 위반, 운전 중 담배꽁초 투기, 불법주정차 등 기초생활질서를 위반한 내용으로, 2011년 9월 30일 제도시행 이후, 지난해 12월까지는 1건밖에 없다가 올 10월 157건으로 대폭 늘었다. 전체 동영상 신고의 45.4%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러한 신고는 차량용 블랙박스 보급률이 증가하고, 스마트폰이 보편화되면서 위반행위가 촬영된 동영상을 SNS에 올리거나 관련기관에 신고하는 것이 일상화됐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권익위 관계자는 “관련 법에 따라 개별 신고 건당 50만원의 환수금이 발생해야 10만원(환수금의 20%)을 신고자에게 지급할 수 있으므로, 기초생활질서 위반을 내용으로 한 공익침해신고의 경우는 보상금을 지급할 수 는 없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동영상을 활용한 공익신고가 활성화되고 있는 것은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불법적인 행동에 대한 시민들의 높은 준법의식의 결과다”고 말했다.
블랙박스나 핸드폰 동영상으로 촬영한 공익침해행위를 신고하려면 국민권익위원회 홈페이지(공익신고란)나 국민신문고를 방문해 인적사항과 신고내용을 기재하고 촬영된 파일을 첨부하면 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