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어린이용 장난감 ‘비비탄총’으로 인한 사고가 많아지면서 피해를 줄이기 위한 안전관리가 강화된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비비탄총 안전관리 강화대책 수립의 일환으로 제품안전기술기반조성사업으로 진행했던 ‘안전한 비비탄총 개발’ 연구결과와 관련 기술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비비탄총은 제품의 출고 또는 통관 전에 지정된 시험․검사기관의 공장심사와 제품검사를 통해 안전기준에 적합한 제품인지 안전성을 확인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2007년도부터 소비자원에 접수된 장난감 무기류에 의한 안전사고 중 약 73%가 비비탄총과 관련돼 있다.
위해사고 분석결과를 보면, 비비탄이 눈, 코, 귀 등의 얼굴부위에 맞거나 이물질로 들어가 병원을 찾은 경우(97%, 85건/87건)가 대부분이고, 사용 제한연령을 8세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해접수의 절반이상(58%, 51건/87건)이 7세 이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비비탄총에는 발사 안전장치를 의무적으로 부착하도록 규정돼 있음에도 쉽게 시건장치가 풀려 다수의 안전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금번 연구에서는 방아쇠 부분에 장착하는 ‘이중 안전장치’를 개발해 잠금장치가 쉽게 풀리는 오발 사고를 줄이도록 했다. 이중 안전장치를 해제하지 않으면 총을 쓸 수 없다.
또한 비비탄 총알을 입에 넣어 삼키지 않도록 기존 비비탄 총알의 물성을 유지하면서 어린이들이 싫어하는 맛을 낼 수 있는 비비탄 총알을 제조할 수 있는 배합기술을 개발했다.
이와 함께 7세 이하 어린이의 위해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제품 낱개 표면에 제품색과 구별되는 색상으로 ‘대상연령 이하는 사용할 수 없음’을 표기하도록 했다. 또한 얼굴부위의 위해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상 주의사항 중 보안경 의무 착용 관련 문구를 다른 문구보다 최소 50% 이상 더 크게 표기하도록 할 계획이다.
기술표준원 관계자는 “개발된 안전장치 보급, 안전기준의 강화 등을 통해 비비탄총에 대한 지속적인 안전관리를 진행해 비비탄총으로 인한 위해사고를 예방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