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지식경제부는 내년에 17개 R&D 사업을 선정해 기획 단계부터 디자인 참여를 보장하고 이에 따른 디자인 비용으로 500억원 이상을 집중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경부는 그간 디자인이 개별 제품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했으나, 국가 전체적인 산업경쟁력 제고에는 다소 부족했다고 판단했다. 이에 산업 융합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극 대응하고 국가 차원의 산업경쟁력을 선도하기 위해 디자인과 R&D 융합에 나섰다. 이를 위해 29일 디자인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열고 디자인-R&D 융합 등을 골자로 한 ‘디자인 산업융합 전략’을 발표했다.
본 전략은 ‘21세기 융합시대를 선도하는 디자인 강국’이라는 비전하에 디자인 주도의 산업융합 활성화, 비즈니스 생태계의 고도화, 디자인의 위상강화와 한류 확산의 3대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우선, 디자인 주도의 산업융합 활성화를 위해 디자인 효과가 크고 상품화가 가능한 기술 등 전 과정을 디자인 주도로 추진하는 차세대 R&D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융합형 디자인 대학을 올해 14개에서 2015년 30개까지 대폭 확대하고, 공학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한 디자인 커리큘럼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둘째, 디지털 융합, 의료, 서비스, 그린 등 새로운 분야의 디자인 비즈니스 시장 육성을 위해 시범사업, 인력양성, 과제 지원 등을 추진한다. 또한 ‘온라인 공지 증명제도’ 활성화, 디자인대가 가이드라인 수립, 피해 신고·분쟁조정 기구 설치 등 권리보호와 분쟁해결 시스템을 도입한다. 셋째, 중국, 태국, 베트남 등 신흥 디자인국가에 케이디자인(K-DESIGN) 거점 확대해 기업 애로 해결 및 현지 정보교환 등을 실시한다.
지경부 관계자는 전략 발표 이후 진행된 ‘디자인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그간 디자인이 한국경제의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 이제는 융합적인 관점으로 시야를 넓혀 디자인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