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영희 기자] 최근 실내에서 활동하는 현대인이 늘면서 ‘비타민D결핍증’ 진료인원이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해 ‘비타민D결핍증’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7년 약 1천8백명에서 2011년 약 1만6천명으로 5년간 약 1만5천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81.2%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2007년 약 2억8천만원에서 2011년 약 21억1천만원으로 5년간 약 18억 3천만원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68.8%로 나타났다.
비타민D결핍증 질환을 성별로 분석한 결과, 남성 진료인원은 2007년 613명에서 2011년 4,140명으로 약 3,527명이 증가했고, 여성 진료인원은 2007년 1,202명에서 2011년 1만 2,490명으로 약 1만 1,288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10세구간) 점유율을 살펴보면, 최근 5년에 걸쳐 비타민D결핍증 진료인원의 연령구조가 소아에서 고령층으로 바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발생연령층은 0~9세와 50대 이상으로 이 구간의 점유율은 2007년 65.9%에서 2011년 66.7%로 큰 차이가 없었다.
<비타민D결핍증> 성별 증가 추이
0~9세와 50대 이상을 구분해서 살펴보면, 추세의 변화가 눈에 띄게 나타난다. 비타민D결핍증 진료인원 중 0~9세의 소아․아동 점유율은 2007년 34.5%에서 2011년 17.6%로 감소했고, 50대 이상의 장년․고령층의 점유율은 2007년 31.4%에서 2011년 49.1%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0~9세의 진료인원 증가분 보다 50대 이상의 진료인원 증가분이 훨씬 많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2007년과 2011년 진료인원을 비교해보면 0~9세는 약 4.7배 증가한 것에 비해 50대는 11.5배, 60대 이상은 17.3배 증가했다.
비타민D결핍증은 비타민D가 부족해 성장 장애 또는 뼈의 변형이 생기는 질환으로 구루병 또는 골연화증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비타민D는 음식물, 종합비타민제, 모유 등을 통해 섭취하게 되는 경우, 피부가 햇빛에 노출될 때 합성으로 인해서 생성될 수 있다. 최근 비타민D결핍증이 증가하는 원인으로는 학업, 직장생활 등으로 인해 모든 연령에서 햇빛이 있는 낮 시간의 야외활동이 크게 줄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여성의 경우 자외선 차단 크림 등의 남용으로 인해 피부에 닿는 햇빛을 차단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는 것도 원인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비타민D결핍증은 비타민D가 부족해 발생하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생활 속에서 비타민D를 적당하게 유지시켜 주려는 노력을 하면 된다. 점심시간을 이용한 낮 시간에 적절한 야외활동을 통해 일광욕을 하는 것이 비타민D생성에 가장 많은 도움이 된다. 단, 개인에 따라 적정한 권장량은 차이가 있으나, 자외선을 과도하게 쬐는 것도 좋지 않으니 한 번에 너무 오래 일광욕을 하는 것은 좋지 않다. 또한 모유 수유를 하는 여성의 경우, 비타민D가 부족하면 그 아기 또한 비타민D가 부족하게 되므로, 여성 본인이 균형 잡힌 음식물 섭취를 통해 모유에 충분한 비타민D가 들어 있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심평원 관계자는 “겨울철에는 추운 날씨 때문에 야외로 나가기를 꺼려해 실내 활동이 더욱 주를 이루게 되는데, 음식물을 통해 섭취하는 비타민D는 한계가 있다. 일광욕이 꼭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올바른 생활습관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비타민D가 포함된 종합비타민제를 복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