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영희 기자] 기술표준원은 올 상반기 리콜 조치된 공산품 31개, 전기제품 40개 총 71개 제품에 대해 이행점검을 실시한 결과, 리콜제품의 회수율이 전년도에 비해 약 12%p 향상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2월 제정된 제품안전기본법에 따라 정부는 소비자의 안전에 위해가 확인된 공산품에 대해 리콜조치를 실시하고 있다. 기업은 리콜제품에 대해 수거·파기·교환 등을 실시해야 한다.
올 상반기에 리콜 조치된 어린이용 장신구, 책가방 등 공산품과 전기매트, 어댑터 등 전기제품을 합한 71개 제품은 총 35만개 판매됐고, 그중 43.7%가 회수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리콜제품 회수율 31.7%보다 12%p 향상됐고, 리콜제도 선진국인 호주의 39%보다 높은 회수율로서 우리나라의 공산품에 대한 리콜제도가 신속하게 정착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리콜제품 중 공산품의 종류는 어린이용 장신구, 책가방, 이륜 자전거, 완구, 유모차, 보행기, 면봉 등이고, 전기용품은 전기장판, 전기매트, 전기방석, 형광등기구, 전기스탠드, 어댑터 등이다. 품목별 리콜원인을 살펴보면, 어린이용품은 환경호르몬 물질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검출, 승용 완구는 제동장치 부재, 면봉은 세균검출 등이었다. 또한 전기매트, 전기스탠드, 어댑터 등은 감전위험, 온도상승으로 인한 화재위험 등으로 밝혀졌다.
기술표준원은 이번 현장점검을 토대로 철저한 리콜 이행점검을 위해 내년부터 리콜이행 전담반을 신설·운영할 예정이다. 이행전담반은 기술표준원과 한국제품안전협회 직원으로 구성하게 된다. 기표원 관계자는 “기업의 리콜조치 완료 후, 리콜업체와 유통매장을 방문, 리콜이행여부를 점검해 리콜제품의 회수율을 제고할 수 있는 리콜 이행체계를 확립하고, 지속적인 제도개선을 통해 소비자의 안전을 확보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