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지식경제부는 ‘2012년 국내기업 e-비즈니스와 IT활용조사’ 결과, 우리 기업들의 IT활용정도가 4년 연속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본 조사의 목적은 국내기업의 IT 활용분야 및 수준, IT 인프라 구축, IT 투자 현황 등을 파악하는 것으로 2009년 이후 올해 네 번째 조사이며, 종사자수 10인 이상 기업 3,224개사가 응답했다.
지난해 국내기업의 IT활용지수는 100점 기준의 51.9점으로, 2009년 대비 7.8점 상승했고, 전반적인 기업경기 하락에 따른 기업의 IT 투자 저하로 인해 2011년 51.3점 대비로는 0.6점 소폭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산업 전․후방 연관도와 매출에 있어 IT의 기여도가 높은 금융 및 보험업(58.7점)과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53.9점)이 제조업(52.2점) 보다 IT활용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의 IT활용지수는 전년대비 상승(2.9점↑)했으나, 중소기업은 불확실한 경제상황과 내수부진 등으로 인해 소폭 하락(3.2점↓)해 대․중소기업간 IT활용 지수 격차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IT활용 수준은 1단계 ‘업무 효율화’에서 2단계 ‘기업 내 통합’으로 발전해가는 추세로 아직은 상당수(80.6%) 기업들이 ‘부서 내’ 정보공유를 하는 수준에 있으나, 점차 IT활용을 통한 ‘기업 내’ 정보공유 수준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IT 투자분야는 네트워크 인프라 업그레이드(23.7%)와 보안기능 향상(23.3%)에 우선수위가 있었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한 기업이 2.0%, 2년 이내 도입예정기업이 2.5%에 불과해 최신 IT메가트렌드에 대한 필요성 인식은 낮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지경부 안창용 소프트웨어융합과장은 “IT활용지수가 점차 높아지고 있어 고무적이나, 이제는 단순히 업무에 IT를 활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기업들이 IT융합을 통해 신제품, 신서비스, 신시장을 창출하는데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