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영희 기자] 빈혈 진료환자가 40대 여성에게서 가장 많이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최근 6년간 ‘빈혈’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6년 37만 6천명에서 2011년 48만 8천명으로 30%가량 늘어났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이 3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2006년 7만 9천명에서 2011년 11만명으로 연평균 7.0% 증가했고, 여성은 2006년 29만 7천명에서 2011년 37만 8천명으로 연평균 4.9% 증가했다.
2011년 기준으로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율을 보면, 40대가 23.2%를 차지해 다른 연령층에 비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30대 17.0%, 9세 이하 12.6%, 50대 12.0% 순(順)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 여성은 전체 진료인원의 21.2%를 차지했다. 2011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성별로 보면, 남성은 80세 이상(1,930명), 9세 이하(1,415명) , 70대(1,238명) 순(順)이고, 여성은 40대(2,459명), 30대(1,872명), 80세 이상(1,792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빈혈은 우선적으로 가장 흔한 것이 철분결핍성 빈혈로 여성에서 생리과다, 위장이나 대장 출혈, 고기 섭취를 하지 않는 채식주의자 등에서 나타날 수 있다. 그 외에 비타민 B12나 엽산 결핍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고, 신부전이나 만성염증 등에서도 빈혈이 일어날 수 있다. 드물게 재생불량성 빈혈 등 혈액 질환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다.
빈혈의 증상은 어지러움, 운동시 호흡곤란, 전신 무력감, 피로 등 다양한 증세로 나타날 수 있다. 일반인들은 현기증을 느끼면 빈혈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만성적으로 서서히 빈혈이 생긴 경우 어지럼증이 없을 수도 있고, 반대로 어지럼증이 있어도 빈혈이 아닌 경우가 흔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이상현 교수는 “일반적으로 여성 성인은 생리로 인해 남성보다 빈혈의 빈도가 높다. 특히 40대 여성의 경우, 아직 생리 중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출산 후 발생한 빈혈이 제대로 치료되지 않고 누적된 결과로 보인다. 50대 이후에는 폐경으로 인해 빈혈 발생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빈혈은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진다. 철분결핍성 빈혈의 경우, 철분제를 투여해 치료한다. 철분제 투여 후 며칠 내에 피로감 등의 증세가 호전되고, 2개월 정도면 혈색소가 정상이 되나 철분제 투여는 보통 6개월 정도 충분히 투여해야 한다. 철분제를 복용해도 생리과다나 덩어리 생리 등으로 매달 실혈량이 많으면, 빈혈 치료는 성공할 수 없다. 이에 생리를 하는 여성들에게 발견된 빈혈은 반드시 산부인과적으로 그 원인이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무엇보다 빈혈은 전반적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평소 균형 있는 식생활이 가장 중요하다. 단, 어지러운 증세를 빈혈로 착각해 철분제를 복용하기 쉬운데 어지러움의 원인이 빈혈이 아닌 경우도 흔하므로 우선 그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철분제의 임의 복용은 빈혈의 상태나 원인을 찾기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 없이 철분제를 복용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피해야 한다.
이 교수는 “철분결핍성 빈혈로 진단받은 경우, 충분한 기간 동안 철분제를 복용하고, 증세나 검사 결과가 호전됐다고 자의로 중단해서는 안 된다”며 “철분제를 복용하고 생기는 위장장애나 변비 등은 철분제재를 바꾸거나 다른 조치가 가능하므로 약 복용 후 부작용이 있는 경우는 의사와 상의해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