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지난해 의료인력, 시설, 장비 등 응급실 중환자의 서비스는 좋아진 반면 서울대병원, 인하대병원 등 7개 병원 응급실은 과밀화가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전국 433개 응급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2년 응급의료기관 평가결과를 발표했다. 응급의료기관 433개소 중 302개소(69.7%)가 시설·인력·장비의 법정 기준을 충족해 2011년 충족률 58.4%에 비해 11.3%p가 향상됐다.
응급의료기관 종별 필수영역 충족률을 살펴보면, 권역센터(88.9%)와 지역센터(95.7%)는 높은 반면, 지역기관(58.1%)은 낮게 나타났다. 지역응급의료센터는 전년대비 충족률이 2011년 86.6%에서 2012년 95.7%로 크게 향상됐다. 지역응급의료기관은 전년대비 충족률이 46.0%에서 58.1%로 향상 됐다.
항목별 충족률을 살펴보면, 인력 충족률은 72.5%로 전년 59.1% 대비 13.4%p 향상됐으나, 시설·장비 충족률과 비교 시 여전히 가장 큰 애로사항이다. 장비 충족률 감소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의 장비 미작동과 물품 유효기간 초과 등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 충족률을 살펴보면, 지역응급의료센터는 경기(95.8%), 충남(75.0%), 전남(50.0%)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충족률이 100%다. 지역응급의료기관은 서울·대구·광주·경기·강원 지역은 전년대비 20%p이상 향상됐으나, 전남(24.3%), 경남(40.0%), 충북(50.0%), 경북(52.0%)은 지역응급의료기관 평균(58.1%) 이하다.
응급의료서비스 질 평가는 권역․전문센터·지역센터 134개소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급성뇌혈관질환에서 뇌 영상 검사의 신속성은 2010년 21.8분, 2011년 17.0분, 2012년 15.0분으로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올라갔다. 중증응급질환자의 응급실 재실 시간은 2011년 3.7시간, 2012년 3.5시간으로 0.2시간 단축됐다. 중증응급질환자의 입원률은 2010년 75.7%, 2011년 77.5%, 2012년 79.7%로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향상됐다. 응급실 과밀화가 심한 기관은 서울대병원, 전남대병원, 경상대병원, 경북대병원, 삼성서울병원 등 총 7개소였다.
복지부 관계자는 “응급의료기관 평가결과에 따라 올해 242억원을 응급의료기관에 차등 지원하고 법정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기관은 해당지자체에 시정조치, 지정취소 등 관리·감독을 요청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