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희연 기자] 지식경제부는 기업의 지방투자 유인을 강화하고 국민들도 지방투자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방투자촉진 보조금’ 제도를 개편한다고 밝혔다. 지방이전, 신증설, U턴 기업 유치를 위해 지경부와 지자체는 유치기업에 대해 ‘지방투자촉진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국비 기준으로 전년도 1,017억 원에 이어 올해 1,413억 원을 지원해 기업의 지방투자를 유치할 예정이다.
지경부는 올해부터 유사·동종업종이나 협력업체 등으로 이루어진 투자기업군을 전략적으로 유치해 대규모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로 했다. 이들 기업이 함께 대규모로 지방에 투자할 경우, 정부-지자체-투자기업군간 투자협약을 유도해 투자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대기업의 지방투자를 유치할 수 있도록 보조금 제도를 개선했다. 종전에는 대기업에 대해서는 지방이전 시에만 지원했다. 그러나 최근의 지방경기 침체, 고용부진에 적극 대응하고 연관 투자유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대기업의 지방 신설투자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U턴 기업에 대한 지원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지난해 익산 주어리 단지에 U턴 귀금속 가공업체 11개를 중국으로부터 유치한 바 있다. 올해도 U턴 기업을 적극 발굴해 국내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유도해 나갈 방침이다.
이번 제도 개편으로 어린이집·기숙사와 같은 근로환경 개선 시설도 지원됨에 따라, 지방투자 기업의 고민도 줄어들게 됐다. 지경부는 기업이 지방투자 시에 하는 근로환경 개선시설에 대한 비용도 설비투자로 인정해 근로환경 시설비용의 30%까지 보조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현재 어려운 지역 경제와 일자리 상황을 극복해 나가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제도나 정책도 다시 한 번 살펴보고, 국민과 기업이 체감할 수 있도록 바꿔나갈 방침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