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최근 잇따른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자살로 복지공무원들의 근무 여건 개선 여론이 높은 가운데 안전행정부가 복지기능의 효과적 수행과 복지담당 공무원의 업무량 완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추진한다.
우선, 사회복지 담당공무원의 사기진작을 위해 인사평가 때 가점을 부여하도록 하고, 사회복지 업무를 상시적으로 담당하는 공무원의 특수업무 수당을 인상할 계획이다. 현행 사회복지업무 수당은 3만원이다. 복지사 자격증 소지자는 3만원의 가산금이 추가로 주어진다.
현재 성동구와 서대문구는 청소, 교통, 주차단속 등 본청 이관, 무인민원발급기 확대 등을 통해 가용인력을 복지업무에 추가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 전환 우수 사례를 확산 전파해 모든 지자체가 기능 진단 분석을 통해 복지 분야로 인력을 확충하도록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올해 계획된 복지인력 1,800명을 조속한 시일 내에 배치하고, 육아휴직 등 결원으로 인한 빈자리 대책도 마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해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공무원은 보건소 등을 통해 상담·검진하고, 각 상담 창구 등에 CCTV 및 녹음장비 설치로 악성 민원인으로부터 공무원들의 신변을 보호하도록 할 예정이다.
안행부 유정복 장관은 “박근혜 정부는 맞춤형 복지전달체계 개선을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만큼 관계부처가 힘을 모아 주민들의 복지체감도를 높이기 위한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할 것이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