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남성흡연율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전국 253개 기초자치단체(보건소)의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시·도 단위로 분석한 결과, 남성현재흡연율은 42.6%~51.3% 사이에 분포하며 지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지난 5년간 큰 변화 없이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서울(42.6%), 전북(44.4%), 울산(44.5%)이 상대적으로 낮고, 세종(51.3%), 강원(49.9%), 제주(49.4%)가 높았다.
성인고위험음주율은 13.5%~20.4% 사이에 분포하고 2011년 대비 감소했다. 전남(13.5%), 전북(13.7%), 광주(14.1%)가 상대적으로 낮고 세종(20.4%), 강원(19.5%), 제주(18.8%)는 높았다.
<고위험 음주율>
걷기실천율은 28.4%~52.1% 사이로 지난 5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강원(28.4%), 경북(31.3%), 제주(34.4%)가 상대적으로 낮고 서울(52.1%), 대전(48.2%), 부산(46.9%)이 높았다. 비만율(자기기입)은 22.0%~30.1% 사이로 지난 5년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대전(22.0%), 대구(22.2%), 부산(22.4%)이 상대적으로 낮고, 제주(30.1%), 강원(26.7%), 세종(26.3%)이 높았다. 대체적으로 걷기실천율과 비만율사이에 역상관 관계를 보여주고 있었다.
운전 시 안전벨트 착용률은 54.4%~87.5% 사이에 분포하며 지난 5년간 감소추세를 보였다. 제주(54.4%), 전북 (60.4%), 경북(66.1%)이 상대적으로 낮고 서울(87.5%), 부산(83.7%), 대구(82.4%)가 높게 나타나 지역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올해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건강을 주제로 ‘고혈압’을 선정한 바, 금연과 절주가 반드시 필요한 고혈압 진단자(30세 이상 평생 의사진단 경험자)의 남자현재흡연율과 비만율(자기기입)도 일반인구집단의 건강행태와 비교했을 때, 크게 양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행태개선을 통한 질환관리수준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 단위로 분석한 결과, 고혈압 진단자(30세 이상 평생 의사진단 경험자)는 16.7%~20.8% 사이에 분포하며 지난 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경남(16.7%), 전남(17%), 경북(17.3%)이 상대적으로 낮고 충남(20.8%), 강원(20.8%), 세종(20.4%)이 높았다. 고혈압 진단자(30세 이상) 중 남자현재흡연율은 27.2%~39.6% 사이로 지난 5년간 크게 감소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27.2%), 대전(29.3%), 서울(31.9%)이 상대적으로 낮고 세종(39.6%), 충북(37.7%), 전북(37.2%)이 높았다.
고혈압 진단자(30세 이상) 중 고위험음주율은 8.5%~16.4% 사이에 분포하며, 이 지표 또한 지난 5년간 크게 감소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8.5%), 전북(9.7%), 충북(10.4%)이 상대적으로 낮고 세종(16.4%), 부산(14.3%), 대전(13.2%)이 높았다.
전국 기초자치단체(253개 보건소) 조사결과를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와 비교 분석한 결과, 남자현재흡연율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46.8%)에 비해 차이가 없거나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걷기실천율은 65개 보건소가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37.6%)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지자체별 건강행태 실천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