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표준원은 3D융합산업의 활성화와 관련 중소기업 특허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위해 지식재산권(IP) 연계형 표준화를 주제로 ‘글로벌 3D 표준 & IP 포럼(3DSIF) 2013'을 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개최한다.
IP 연계형 표준화가 중요한 이유는 표준특허 사용에 대한 기술료를 받을 수 있고 표준화에 참여한 기업들은 상호 특허분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본 포럼에서 현재 동영상압축기술(MPEG) 표준특허 관리기관인 MPEG-LA의 빌 게리 부사장은 3D비디오 특허풀 주요현황과 계획 등을 발표했다. 한국은 3D-TV, 눈 안전성의 휴먼팩터, 클라우드기반 3D게임 등 다양한 3D 응용분야의 IP-표준 연계 전략을 발표했다.
이 중 3D의료 분야의 경우 (주)모든넷, 조선대학교병원 등 우리 중소기업이 보유한 특허기술을 기반으로 영상정보의 호환성을 대폭 개선시킬 수 있는 신개념의 이종 메디컬 3D 모델 융합기술의 국제전자기술자협회(IEEE) 국제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기술표준원은 3D휴먼팩터와 3D의료 표준화 작업반을 2011년과 2012년 각각 사실상표준화기구 IEEE 내에 신설한데 이어 향후에 3D에듀테인먼트 작업반을 신설함으로써 IEEE 내에서 3D융합산업 표준화를 선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