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영희 기자] 2011년 65세 이상 노인 치매환자가 2006년 대비 308.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6부터 2011년까지 6년간 치매로 인한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의료기관을 이용한 진료인원은 2006년 대비 2011년 296.3%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24.3%로 나타났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2006년 대비 2011년 진료인원은 308.3% 증가했다.
인구 10만 명당 치매 진료인원은 2006년 214명에서 2011년에는 613명으로 399명(2.9배)이 증가했다. 65세 이상 노인치매 진료인원은 2006년 65세 이상 노인인구 10만 명당 1,923명에서 2011년에는 5,120명으로 3,197명(2.7배)이 증가했다.
2006년 대비 2011년 진료인원과 총진료비의 증가량을 보면, 진료인원과 총진료비 모두 90세 이상에서 각각 485.9%와 844.6%로 가장 크게 증가했다. 특히 40세 미만의 경우 진료인원은 171.1%로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나 총진료비는 무려 457.9% 증가했다. 최근 6년간 진료인원은 75~79세에서, 총진료비는 80~84세에서 가장 많게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남성의 경우 75~79세에서, 여성의 경우 80~84세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치매의 원인은 나이, 성별, 고혈압, 당뇨, 흡연, 음주, 비만, 고지혈증, 우울증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공통적이고 보편적인 위험 인자는 연령이다. 최근 평균수명의 증가로 노인인구가 급증하면서 치매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다.
치매는 대뇌 피질의 침범 부위에 따라 여러 가지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대표적인 알츠하이머병의 증상을 보면 초기에 기억장애, 이름대기 장애, 시공간 지각 장애가 나타난다. 이후 실행증, 전두엽 집행기능장애, 성격 변화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된다. 이와 더불어 우울, 무감동, 무관심, 초초, 불안 등의 행동심리증상을 동반한다.
치매는 초기단계에 발견하면 치료와 관리를 통해 중증도 진행을 지연하는 것이 가능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치매예방센터 이준홍 교수는 “치매는 발견과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정부는 국가건강검진(66세, 70세, 74세)의 검사문항(현행 5개 문항)을 확대 개선하고, 인지기능장애 고위험군은 주기적으로 집중 관리함으로써 치매검진의 실효성을 향상시키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치매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평소 규칙적인 운동은 필수다. 운동은 뇌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뇌신경 보호, 신경세포간의 연결 원활히 해 줌으로써 뇌기능의 개선에 도움이 된다. 이와 함께 금연, 절주, 사회활동, 뇌건강에 좋은 음식으로 제때에, 골고루, 적당히 먹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