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희연 기자]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치매 유병률이 매 20년마다 약 2배씩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보건복지부는 2008년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한 ‘2012년 치매 유병률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 전국 65세 이상 노인 6008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동 조사결과에 의하면, 2012년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은 9.18%로 환자수는 54만 1천명으로 추정된다. 급속한 고령화로 치매 유병률은 계속 상승해 환자수도 지난해 약 54만 명에서 2030년에는 약 127만 명, 2050년에는 약 271만 명으로 매 20년마다 약 2배씩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치매 유형별 분포를 보면, 전체 치매환자 중 알츠하이머 치매는 71.3%, 혈관성 치매는 16.9%, 기타 치매는 11.8%의 비율을 점하고 있다. 치매 중증도별 분포는 최경도 치매 17.4%, 경도 치매 41.4%, 중등도 치매 25.7%, 중증 치매 15.5%다. 이중 최경도와 경도 치매가 전체 58.8%를 차지한다.
<치매의 유형별 분포>
치매위험도는 65~69세에 비해 70~74세 2.15배, 75~79세는 3.76배, 80~84세는 5.7배, 85세 이상은 38.68배로 고령자일수록 높았다. 또한 남성보다는 여성이, 고학력자보다는 저학력자인 경우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 증가 인자로는 사별, 이혼, 별거, 미혼 등 배우자 부재 2.9배, 두부외상 과거력 3.8배, 우울증 2.7배로 나타났다.
치매 인식도 수준은 100점 만점에 64.7점 수준으로 2008년 60점에 비해 높아지긴 했으나 체계적인 교육과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자의 88.2%는 치매에 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없었고, 치매에 대한 지식의 통로는 방송이 가장 높았다.
복지부는 지난해 ‘제2차 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을 수립했다. 경도인지장애를 가진 노인이 65세 노인 중 4분의 1에 이르는 가운데 전국 254개 보건소에서 치매조기검진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가칭)치매특별등급’을 신설하고, 주야간 보호시설을 확충해 경증 치매환자의 요양부담을 덜어줄 계획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치매 초기부터 약물치료를 꾸준히 받을 수 있도록 저소득 치매노인에게 약제비 지원을 지난해 전국가구평균소득50%이하노인에서 올해 100%이하로 해 나가고 있다”며 “치매환자의 노인장기요양보험 혜택의 확대를 위해 장기요양 3등급 인정점수를 인하 53점에서 51점으로 인하하고, 인지기능 비중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등급 판정도구를 개편 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치매예방관리 10대 수칙>
1. 손과 입을 바쁘게 움직여라
2. 머리를 써라
3.담배는 당신의 뇌도 태운다
4.과도한 음주는 당신의 뇌를 삼킨다
5.건강한 식습관이 건강한 뇌를 만든다
6.몸을 움직여야 뇌도 건강하다
7.사람들과 만나고 어울리자
8.치매가 의심되면 보건소에 가자
9. 치매에 걸리면 가능한 빨리 치료를 시작하자
10.치매 치료․관리는 꾸준히 하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