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성일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기술혁신 역량이 부족한 지역기업을 지원하고 있는 지역기업지원서비스사업(비R&D사업) 추진체제 전 과정을 지역산업․기업 수요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지역사업 중 2단계 광역선도 비R&D사업에 우선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추진체계 효율화
지역 내 기술혁신지원기관의 지역기업에 예산을 중개 지원하는 현행 ‘간접 지원방식’에서 지역기업과 직접 교류해 기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수행체계를 재편한다. 사업수행기관의 기업지원 역량․전문성 평가, 참여기관 수 제한 등의 참여요건을 강화함으로써 참여기관 수를 현재 170개에서 100내외로 축소․조정 할 계획이다.
또한 현재는 사업 수행기관들이 지역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지원서비스 메뉴판에서 제시하고 있는 서비스 유형 전부를 백화점식으로 지원하고 있다. 앞으로는 수행기관에 자율성을 부여해 기존 메뉴판 틀에서 벗어난 창의적 서비스 방식 도입을 가능하게 하고, 기업 수요에 맞춰 메뉴판 내 서비스를 패키지화하는 융합형 기획도 적극 권장할 계획이다.
예산운용 체계 강화
과제별 예산 편성 시, 수행기관 흡수예산(인건비, 간접비 등)을 최소화하고, 직접 기업지원예산 비율을 전체사업비(국비포함 현금)의 70% 수준까지 확대(현 52%)할 계획이다. 이 경우, 직접 지역기업에 지원되는 예산이 167억원에서 228억원까지 확대돼 예산이 약 60억원 증가함에 따라 수혜기업 1,987개, 인력양성 인원 2,940명을 추가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리체계 대폭 간소화
지역기업의 지역사업 진입 문턱을 낮추기 위해 신청단계에서 최대 14종까지 제출해야 했던 서류를 2~3종의 필수서류만을 제출토록 하고, 사업계획서 분량도 4페이지 이내로 최소화했다. 이와 함께 5월부터 지역 내 핵심 기술혁신지원기관인 테크노파크(TP) ‘기업지원단’은 지역사업 기획-컨설팅-성과모니터링 등 지역기업 지원의 전 과정에서 총괄적 관리기능을 수행토록 했다. ‘기업지원단’ 고유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역 내 기술혁신 자원 간 비즈니스 중개기능(컨택센터 확대), 비R&D 수행관리 등의 플랫폼 기능으로 특화시킬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