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초롱 가저] 천식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 중 취학 전 아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최근 6년간 호흡계통의 질환인 천식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천식 질환으로 지출된 진료비는 2006년 2,729억원에서 2011년 3,238억원으로 연평균 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 1인당 진료비는 2006년 12만원에서 2011년 15만원으로 연평균 4.8%증가했다.
2011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 비율을 보면, 천식질환으로 진료 받은 전체 환자 218만 명 중 6세 이하(취학전 아동)가 69만명(31.5%)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7~12세 25만명(11.7%), 50대 23만명(10.4%), 60대 21만명(9.5%) 순의 분포를 보였다. 전체진료인원 중 12세 이하 연령이 환자의 절반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세 이하를 대상으로 지역별로 보면, 2011년 1월부터 12월까지 천식질환으로 진료 받은 진료인원은 경기도(26만명)가 가장 많았고 서울(16만명), 경남(7만명), 인천(6만명) 순으로 나타났다. 인구 1천 명당 환자수는 경북(188명)이 가장 많았고 충남(179명), 충북(177명), 대구(168만명), 인천(167명) 순으로 분포를 보였다. 경기도는 진료인원이 가장 많았지만, 인구 1천 명당 환자수로 보면 154명으로 경북, 충남, 충북, 대구, 인천 전북에 비해 낮았다.
건보 관계자는 “각 지역별로 주거환경 분포, 공장지역 분포, 오존의 노출정도, 도시화의 비율, 꽃가루의 분포 등이 다양하게 작용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12세 이하에서 천식질환이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장광천 교수는 “면역이 아직 발달되지 않은 상태로 더 쉽게 호흡기 감염에 걸리고 질병으로 진행하는 경향이 있다. 예전보다 더 어린나이에 많은 아이들이 집단생활을 하게 돼 감염의 기회가 많다. 하지만 자연경과상 30~50% 이상이 사춘기 이후 증상이 소실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소아 천식 예방책은...
부모나 가족, 형제 중에 아토피 피부염이나 알레르기 비염, 결막염, 식품 알레르기, 약물 알레르기, 천식 등의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경우 임신시기와 출생 후 1세 미만의 시기에 환경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집먼지 진드기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아이는 생활하는 방의 실내 환경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청소 시 먼지의 노출을 피하도록 하고 청소와 환기가 끝나고 30분 뒤에 물걸레로 마무리 청소한다. 진드기 방지커버를 사용하고 천으로 된 커튼, 인형, 소파, 카펫 등은 없애는 것이 좋다. 습도도 40% 정도를 유지하고 50% 이상으로 올라가면 진드기의 번식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2세미만의 경우에는 가급적 집단생활을 피하는 것이 좋다. 어쩔 수 없는 경우에는 개인 위생관리, 손가락을 빨거나 손톱 물어뜯기, 코를 파는 등의 행동은 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꽃가루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경우에는 오전 10시 이전에 환기를 피하고 꽃가루가 심한 날은 가급적 외출을 삼가야 한다. 외출을 하고 귀가하게 되면 머리부터 발끝까지 씻어내고 옷을 갈아입어 실내에서의 2차 노출을 피한다. 황사가 있는 날도 마찬가지 요령으로 주의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