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기압이 낮고 습도가 높은 6~8월 여름철에 건초염 환자가 가장 많고 2명중 1명은 40~50대인 것으로 조사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해 건초염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8년 101만명에서 지난해 136만명으로 5년간 35.1%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6.2%로 나타났다.
건초염 진료인원을 월별로 보면, 1년 중 여름철인 6~8월에 진료인원이 가장 많았고 겨울철인 1~2월에 진료인원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약 37.2%~37.7%, 여성은 약 62.3%~62.8%로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에 비해 약 1.7배 더 많았다. 연령별(10세구간) 점유율은 2012년 기준으로 50대가 25.4%로 가장 높았고 40대 20.3%, 60대 14.1%의 순이었다. 특히 40~50대의 점유율이 45.7%로 건초염 진료인원 2명중 1명은 40~50대의 중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초염 10세구간별 성별 진료인원 비교(2012년)>
건초염은 건(힘줄)을 싸고 있는 활액막 자체 또는 활액막 내부 공간이 염증성 변화로 충혈, 부종 발생, 염증 세포가 침윤되는 경우를 말한다. 힘줄이 있는 곳이면 전신의 어느 부위에서도 발병이 가능하다. 주로 손목, 손가락 등에 가장 많고 어깨, 엉덩이, 무릎, 발목 등 비교적 움직임이 많은 관절에서 발병하기 쉽다.
건보 관계자는 “중년의 직장인, 가정주부와 같이 손가락, 손목 등을 반복적으로 오래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 건초염 증상을 호소하는 인원이 많다”며 “특히 여름철은 기압이 낮고 습도가 높은 날이 많아 관절 내 압력이 높아져 신경을 자극하기 때문에 관절 통증이 더 심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건초염 초기에는 통증부위의 충분한 휴식, 온‧냉찜질, 부목 고정 등으로 호전 될 수 있다. 만약 이런 방법으로 효과가 없다면 약물처치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건초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반복적 동작을 취하는 신체 부위의 무리한 사용을 피해야 한다. 유연성 향상을 위한 스트레칭과 정기적으로 휴식을 취해주는 것이 좋다. 무리한 작업이나 운동 후에는 해당 부위에 온‧냉찜질이나 마사지 등을 시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