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성애 기자] 여름철, 80세 고령층에서 ‘옴’ 발병 환자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최근 5년간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옴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환자가 2007년 3만 6,688명에서 2011년 5만 2,560명으로 늘었다.
매년 인구 10만명당 옴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환자는 2007년 77명에서 2011년 107명으로 늘었다. 2011년 기준 연령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는 80세 이상이 447명으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149명, 50대가 115명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료환자는 80세 이상 여성이 487명으로 가장 많았고 80세 이상 남성이 356명, 70대 여성이 150명이었다.
최근 5년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연령대는 80세 이상으로 연평균 31.6%, 70대가 20.2%, 60대가 19.6%씩 증가했다. 성별로 보면 여성의 연평균 증가율이 11.4%로 남성의 연평균 증가율 6.0%에 비해 2배 가까이 높았다. 또한 진료환자수를 보면 더운 여름철에 옴 발병이 증가하기 시작해 10월을 기준으로 서서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옴은 옴 진드기의 피부 기생에 의해 발생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피부 질환이다. 증상은 밤에 심해지는 가려움이다. 가려움은 보통 환자가 잠자리에 들어 몸이 따뜻해진 후 시작되는데 가려움은 옴 진드기에 대한 과민반응으로 나타난다.
보통 4~6주간 잠복기를 거쳐 나타난다. 옴 진드기는 주로 야간에 각질층 내에 굴을 만들고 이때 진드기에서 나오는 소화액과 같은 분비물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켜 가려움증이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조남준 교수는 “옴 환자가 노인층에서 많은 이유는 만성질환이 많고 요양시설 등 집단생활을 하는 노인층이 증가하면서 많이 발생하는 것 같다”며 “일반적으로 옴 진드기는 기온이 20℃ 이상에서는 활동성이 활발해 더운 여름철 옴 환자 발생이 많아지고 기온이 떨어지는 11월에서 4월 사이에는 환자수가 감소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옴은 전염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환자는 물론 가족, 접촉한 사람도 같이 치료를 해야 한다. 조 교수는 “입원 환자가 옴 질환이 있으면 간병인이나 간호사, 의료진도 같이 치료를 해야 옴 전염을 막을 수 있다”며 “내의나 침구류는 약을 바르는 동안(2-3일) 같은 것을 사용을 한 후 세탁하고, 세탁 후 3일간 사용하지 않다. 이는 옴은 사람을 떠나서는 1~2일 정도만 생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