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본격적인 물놀이를 즐기는 여름 휴가철인 8월에 외이도염 환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6년간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외이도염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은 2007년 135만 3천명에서 2012년 154만 5천명으로 늘어 연평균 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6년간 외이도염 질환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한 환자수를 월별로 보면, 여름철인 8월에 평균 27만 1천명이 진료를 받아 다른 월에 비해 가장 많았고 특히 지난해 8월에는 29만 명 이상이 진료를 받았다. 연령대별 진료현황은 청소년인 10대가 4만 4천명인 16.3%로 가장 많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최현승 교수는 “여름철에는 기후가 습하고 휴가를 맞아 수영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 외이도에 세균 감염이 많이 생긴다”며 “특히 물놀이를 많이 하는 청소년이 깨끗하지 못한 물에 외이도가 장시간 노출되고 면봉 등으로 상처를 내는 경우가 있어 10대 청소년의 외이도 감염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한 지역별 인구 10만명당 환자수는 2012년 기준으로 제주가 3,477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북 3,396명, 대전 3,261명, 울산 3,249명 순으로 나타났다. 최 교수는 “습도나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 외이도에 염증이 생기기 쉬운데 제주도는 다른 지역에 비해 연중 따뜻하고,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환경적인 특성으로 외이도염 환자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외이도염 질환 지역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2012년)>
‘외이도’ 청결히 세정하고 건조하게 유지
외이도염은 귀의 구조 중 외이도 부분의 세균성 감염이나 알레르기 질환에 의한 염증성 질환으로 통증, 가려움증, 이충만감, 청력감소 등의 증상이 올 수 있다. 치료는 외이도를 청결히 세정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가능하면 물과의 접촉을 피하고 면봉이나 귀이개 등으로 외이도를 자극하지 않게 한다.
<외이도염 구조>
무엇보다 깨끗하지 않은 물이나 이물질이 외이도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만약 귓구멍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통증 등의 증상이 생기면 외이도 피부에 자극을 가하지 않는 것이 좋다. 직접 외이도를 관찰하지 않은 상태에서 면봉, 귀이개 등을 쓰지 않도록 하고 수영이나 목욕할 때 귀마개를 사용해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또한 과도한 외이도의 자극은 고막의 천공이나 외이도의 폐쇄, 중이염으로 진행돼 청력 감소, 만성 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염증 초기에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게 좋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