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강영란 기자] 실내온도 제한 등 단순 절전규제에서 벗어나 ICT(정보통신기술), LED, 스마트가전을 융합한 전력수요 관리가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ICT와 전력시장을 융합해 에너지정책의 패러다임을 공급중심 방식에서 수요관리형으로 전환한다고 19일 밝혔다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열다
우선, 전기다소비 사용자에 대한 ESS 설치를 권장한다는 방침이다. 계약전력 30만kW 이상 대규모 민간 사업장(30여개소)을 대상으로 계약전력의 5%이상, 계약전력 1,000kW 이상 공공기관(1,800여개)에 대해 100kW 이상 ESS 설치를 권고할 방침이다. 또한 민간·공공기관의 ESS 설치실적을 점검해 설치실적 부진 시 단계적 의무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에너지관리시스템(EMS) 활성화
연면적 1만m2 이상의 공공·민간 신축건물과 연간 에너지 소비 2천TOE 이상의 에너지다소비건물에 전기, 열, 가스 등 다양한 에너지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원격 제어할 수 있는 EMS 설치를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투자여력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의 EMS 구축의 초기 투자비용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구축비용의 최대 50%를 지원하고, EMS 투자비용을 에너지절약시설 투자세액 공제 대상에 추가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에너지 기업이 아니더라도 IT기업, 통신사업자와 같이 EMS 관련 기술을 이미 확보한 기업이 ICT기반 에너지절약 시장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 등록제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LED 조명 보급, 스마트플러그 확산
지하철, 터널, 여객터미널 등 대규모 조명사용처의 조명을 LED로 교체하고, 민간건축물은 지하주차장 등 장시간 사용조명에 대해 LED조명을 의무화한다. 또한 눈에 보이지 않는 전기사용을 눈에 보이게 해 줌으로써 국민들 스스로 전기를 줄일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국민들이 사용하는 가전제품도 에너지를 좀 더 똑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플러그를 보급할 계획이다. 스마트플러그는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활용해 가전제품이 사용되지 않을 때 전원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차단하거나, 전기사용량을 측정·제어하는 장치다.
지역냉방, 가스냉방 등 전기대체냉방 확대
지금까지는 중앙집중냉방 건물에만 적용돼 오던 전력부하관리 냉방설비 설치의무를 중앙집중냉방이 아닌 건물에도 적용된다. 3,000㎡ 이상 건축물의 경우 지역냉방, 가스냉방 등 대체냉방의 비율이 60%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상업용 건물을 대상으로 주로 설치돼 온 지역냉방을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도 적극 확대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계획은 에너지정책의 패러다임을 공급중심에서 벗어나 시장에 기반 한 수요관리형 전력정책으로 전환하기 위한 첫 단추다. ICT와 전력시장을 창조적으로 융합해 시장을 창출함으로써 전력수요 관리를 전문으로 하는 서비스업과 창의적인 일자리가 창출돼 창조경제 실현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