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평주연 기자] 열성 두드러기인 콜린성 두드러기로 병원을 찾는 진료환자가 10~20대 젊은 남성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최근 5년간의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해 ‘콜린성 두드러기’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8년 약1만명에서 2012년 1만2천명으로 5년간 약 2천명으로 24.7%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5.7%로 나타났다.
성별 점유율은 2012년 기준으로 남성이 약 59.4%, 여성은 40.6%로 남성 진료인원이 여성 진료인원에 비해 약 1.5배 더 많았고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이 6.3%, 여성이 4.9%로 남성이 1.4%p 더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점유율은 20대 21.7%, 10대 19.5%, 40대 14.4%의 순으로 나타났다.
<콜린성 두드러기 성별 진료인원 추이(2008~2012)>
특히 10~20대의 점유율이 41.2%로 진료인원의 10명 중 4명은 10~20대의 청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연령구간별 점유율은 10대 25.6%(1,826명), 20대 26.3%(1,880명)로 10~20대가 51.9%로 높게 나타났다.
콜린성 두드러기는 갑작스러운 온도변화, 정신적 스트레스를 겪은 뒤 심부 체온이 1℃ 이상 높아질 때 나타날 수 있는 열성 두드러기이다. 신체는 부교감신경에서 분비되는 아세틸콜린이 땀샘을 자극해 수분을 배출하고 체온조절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아세틸콜린이 비만세포를 자극하게 되면 콜린성 두드러기가 발생하게 된다.
콜린성 두드러기는 두드러기와 함께 심한 가려움증과 따가움을 느낀다. 증상이 몇 분간 지속되다가 보통 한 시간 내에 가라앉는 편이다. 증상은 1~2㎜ 정도의 작은 팽진과 함께 1~2㎝ 정도의 홍반성 발적이 나타나고 손바닥과 발바닥을 제외한 전신에 전체적으로 퍼져나가는 것이 특징이다.
건보 관계자는 “10대~20대의 진료인원의 점유율이 높은 이유는 타 연령대에 비해 운동 등의 활동량이 많아 체온이 높아지는 빈도가 높기 때문이다”며 “콜린성 두드리기 발생 시 히스타민 억제를 위해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해 증세를 완화한다”고 말했다.
콜린성 두드러기를 막기 위해서는 과도한 실내운동, 뜨거운 사우나와 찜질, 더운 탕욕 등과 같이 갑자기 체온을 상승시키는 상황을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정신적 스트레스도 콜린성 두드러기를 발생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정서적 자극이나 심리적 불안을 제거해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것이 좋다. 치료를 해도 몇 개월에서 몇 년 안에 재발되는 만성질환이기 때문에 평상시 습관을 통해 증상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