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최근 6년간 뇌혈관질환의 진료환자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6년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뇌동맥류질환과 뇌출혈질환(이하 뇌혈관질환) 진료인원이 2007년 8만 3천명에서 2012년 11만 8천명으로 늘어나 연평균 7.4%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고 밝혔다.
2012년 뇌혈관질환의 연령대별 진료환자를 보면, 50대가 27.2%를 차지해 다른 연령층에 비해 가장 많았고 60대 25.6%, 70대 22.0%, 40대 12.0% 순으로 나타났다. 뇌혈관질환 중 뇌출혈 환자는 2007년 7만1,943명에서 2012년 8만493명으로 1.1배 증가한 반면 뇌동맥류 환자는 2007년 1만 2,446명에서 2012년 3만 9,603명으로 3.2배 증가했다.
뇌혈관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진료환자 추이를 연도별로 보면, 연중 기온이 가장 낮은 겨울철 12월~2월 진료환자가 많았다. 최근 6년간 겨울철 평균 진료인원은 5만 8,738명으로 가을 5만 3,462명, 여름 5만 2,542명, 봄 5만 2,522명으로 다른 계절에 비해 많았다.
양 교수는 “뇌동맥류 환자가 늘어난 것은 질환 자체의 증가보다는 최근 들어 MRI 등 진단기술의 발달로 기존에 진단하지 못했던 질환을 찾는 것이 가능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겨울철에는 날씨가 추워지므로 혈압이 오를 가능성이 높고 운동을 하기 힘든 경우가 많아지면서 발생빈도가 높아진다”고 말했다.
뇌동맥류질환과 뇌출혈은 대개 고혈압, 당뇨, 흡연, 고지혈증, 음주, 심혈관질환등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뇌동맥류는 대부분 아주 작은 뇌혈관보다는 약간 굵은 뇌혈관에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뇌혈관은 뇌실질 안으로 들어가기 전에 뇌를 둘러싸는 지주막 아래에서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뇌출혈은 뇌실질 내에서 작은 혈관의 출혈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뇌출혈은 한번 발생하면 많은 경우에서 후유증을 남기므로 예방이 중요하다. 이에 원인이 될 수 있는 고혈압, 당뇨, 흡연, 고지혈증, 음주, 심혈관질환등의 위험인자에 대한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양 교수는 “평소 고혈압, 당뇨 등이 있었다면 꾸준히 약을 복용하고 운동으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과도한 음주 등을 삼가고, 금연을 실천하면 많은 부분에서 예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