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하지정맥류 진료환자가 40대와 50대 여성에서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6년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하지정맥류로 진료를 받은 사람이 2007년 12만 명에서 2012년 14만 명으로 매년 약 3.2%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6년간 하지정맥류 진료현황>
여성이 남성보다 매년 2배 이상 많았고 여성의 연평균 증가율도 3.6%로 남성 2.4% 보다 높았다. 특히 40대와 50대 여성이 많았는데, 2012년 기준으로 전체 여성 중에서 40대와 50대가 각각 25%, 29%로 전체 여성의 5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여성이 전체 여성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9%로 높지 않지만 최근 6년간 증가율이 높았다. 건강보험 적용인구 100만 명 당 여성 인원을 계산한 결과, 20대 여성은 2007년 약 2,100명에서 2012년 약 2,700명으로 매년 5.4%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여성의 연평균 증가율 2.7%보다 약 2배에 가까운 값이다.
하지정맥류는 다리와 발의 정맥이 혹처럼 확장되고 부풀어 오른 것을 말한다. 증상은 통증, 욱신거리는 느낌, 경련, 하지 무게감, 부종 등이지만 이러한 증상들이 모든 환자에게서 나타나지는 않는다.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은데 정맥순환의 이상이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환자 자신이 이를 증상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진단 방법은 육안으로 정맥류를 확인하고 하지정맥 초음파를 통해 정맥순환의 이상을 진단하는 것이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홍기표 교수는 “20대 여성의 연평균 증가율이 매우 높은 편인데 이는 최근 유행하는 스키니 진 또는 레깅스 착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스키니 진이나 레깅스 등의 꽉 끼는 옷은 정맥의 순환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정맥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하이힐 착용이나 잦은 피임약 복용도 정맥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정맥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오래 서서 일할 경우에 혈액 순환에 도움이 되도록 중간 중간 다리를 구부렸다 펴기를 반복하거나 제자리걸음 등을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쉬는 시간에는 하지를 심장 높이보다 높게 유지해 쉬는 것이 좋다. 의료용 고압력의 압박 스타킹을 착용하면 다리 피로감을 줄이고 정맥의 순환을 도와 정맥류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