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만성폐쇄성폐질환은 남성이 여성보다 많고 이 중 50대 이상 남성에게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이 2007년 22만 2천명에서 2012년 24만 5천명으로 매년 1.95%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에 비해 남성이 1.5배 이상 많았다.
2012년 기준 진료인원 24만 5천명 중 남성이 15만 7천명(64%), 여성이 8만 8천명(36%)으로 남성이 여성의 1.8배였다. 2012년 기준 인구 10만명 당 여성은 357명, 남성은 628명으로 남성이 더 많았다.
남성 중 50대 이상이 전체 남성 환자의 92%를 차지했다. 40대 130명, 50대 426명, 60대 1,455명, 70대 3,225명, 80대 4,484명으로 나이가 많아질수록 급격히 증가했다. 특히 60대 이후에는 남성이 여성의 2배 이상, 80세 이상에서는 남성이 8,483명으로 여성 2,735명의 3.1배로 나타났다.
<남성 연령대별 분포>
만성폐쇄성폐질환은 폐기능의 감소와 기도염증에 의한 호흡곤란, 만성기침, 가래의 증가가 3대 증상이다. 초기에는 주로 움직일 때 호흡곤란이 나타나고 흔하지는 않아도 쌕쌕거리는 숨소리와 가슴이 답답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치료를 하지 않으면 점차 진행해 사망하게 되고 경과 중에 악화 현상을 겪을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호흡기내과 김정주 교수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유해분진 또는 가스에 대한 폐의 비정상적 염증반응으로 인해 발생한다. 특히 흡연이 약 80~90%의 원인으로 지목되는데 체내에 원인물질의 축적이 많을 수밖에 없는 고령자일수록 발생이 증가한다”고 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유해물질에 대한 노출이 차단돼야 한다. 가장 손쉽고 확실한 방법은 담배를 피우지 않는 것이다. 그외 깨끗한 생활환경과 직업 환경이 중요하다. 호흡기 감염질환에 의한 증상악화가 빈번하므로 인플루엔자, 폐렴알균 예방접종과 같은 감염증에 대한 예방도 필요하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