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치아우식 환자 3명 중 1명은 20세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오는 6월 9일 ‘치아의 날’을 맞아 최근 5년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해 ‘치아우식’에 대해 분석했다.
이 결과 진료인원은 2009년 약 576만명에서 2013년 543만명으로 5년간 약 33만명으로 -5.8% 감소했고 연평균 증감율은 -1.5%로 나타났다. 진료인원을 성별로 보면,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약 46.6%~47.2%, 여성은 52.8%~53.4%로 여성의 진료인원이 약 1.1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점유율은 2013년 기준으로 10대 미만 구간이 20.5%로 가장 높았고 10대 14.5%, 20대 13.5% 순으로 나타났다. 20대 미만 구간의 점유율이 35.0%로 치아우식 진료인원 3명 중 1명 이상이 소아·청소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청소년의 진료인원은 2009년 219만명에서 2013년 190만명으로 연평균 -3.5%씩 감소했다. 70세 이상 노인 구간은 연평균 7.8%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인구구조의 변화도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치아우식의 진료인원을 0~19세, 20~49세, 50세 이상으로 구분해 월별로 분석한 결과 0~19세는 겨울과 여름방학 기간인 1월과 8월에 진료인원이 높았다. 그 외 연령구간은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2009년 12월부터 건강보험급여가 적용된 치아우식의 예방치료인 ‘치아홈메우기’의 수혜인원이 2010년~2013년간 연평균 약 50만명 정도로 나타났다. 치아홈메우기는 치아우식증에 이환되지 않은 순수 건전치아를 가진 만 6세 이상 14세 이하 소아의 제 1대구치에 대해 요양급여를 인정하는 것.
치아우식은 입 안에 서식하는 박테리아에 의해 설탕, 전분 등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산(Acid)으로 인해 치아가 손상되는 질환으로 우식증의 진행 범위에 따라 치아 통증의 정도는 심해진다. 치아우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치아관리에 신경을 써야하고 특히 올바른 양치질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다.
물을 많이 마시고 야채나 과일 같은 섬유소가 많은 음식을 자주 섭취한다. 야채나 과일 같은 거친 음식은 입 안에서 저절로 치아를 씻어주는 자정작용을 해 충치 생성을 억제한다. 식사 후에는 3분 안에 양치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치실이나 치간 칫솔로 치아 인접면을 자주 청소하도록 한다. 정기적으로 치아의 상태를 확인하며 치아에 착색부위가 보이거나 통증이 느껴지면 바로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