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고지혈증 환자가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고 증가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고지혈증’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8년 74만 6천명에서 2013년 128만 8천명으로 늘어 연평균 11.5%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남성은 31만 1천명에서 50만 6천명으로 연평균 10.2%, 여성은 43만 5천명에서 78만 2천명으로 연평균 12.4% 증가했다. 2013년 기준으로 성별·연령별 진료현황을 보면, 남성은 60대 4,797명, 50대 4,042명, 70대 3,880명 순으로 많았다. 여성은 60대 1만 ,241명, 50대 7,550명, 70대 6,971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60대는 여성이 남성보다 진료인원이 2배 이상 많았다.
고지혈증은 혈액 속에 지방 성분이 높은 상태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총콜레스테롤이 240mg/㎗을 넘거나 중성지방이 200mg/㎗ 이상인 경우다. 혈관 내에 찌꺼기가 끼면서 혈관이 좁아지는 동맥경화가 오는 문제가 있다. 동맥경화로 혈관이 일부분 좁아져 있을 때는 증세가 전혀 없고 환자가 증세를 느끼게 되는 시점은 합병증이 발병한 시기다.
고지혈증 환자가 늘어나는 것은 서구화된 식이 습관, 운동 부족, 비만, 과도한 음주와 스트레스 등의 요인 때문이다. 고지혈증이 있는 사람에게는 당뇨병, 고혈압 등과 같은 성인병이 함께 발병할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전동운 교수는 “고혈관이 완전히 막히면 협심증, 심근경색, 중풍, 말초동맥질환 등과 같은 합병증에 따른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에 식이 습관 개선, 체중 조절, 복부 비만 개선, 운동, 절주 등의 식생활 습관 개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