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혜자 기자] 기관지 확장증 환자의 85%는 50세 이상 중·노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 결정자료를 이용해 ‘기관지 확장증’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9년 약 7만 5천명에서 2012년 약 8만 1천명으로 증가했으나 2013년에는 약 5천명 감소해 약 7만 5천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기관지 확장증 진료인원의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41.1%~42.4%, 여성이 57.6%~58.9%로 여성 진료인원이 더 많았다. 기관지 확장증은 객담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중요하나 타인을 의식하는 여성의 강한 성향이 객담 배출을 기피한 결과 여성 점유율을 높인 것으로 추측된다.
연령별 점유율은 2013년 기준으로 60대 구간이 전체 진료인원의 30.1%를 차지해 가장 높았고 70대 이상 28.4%, 50대 26.4% 순이었다. 특히 50대 이상 진료인원의 비중이 85%로 기관지 확장증 진료인원의 대부분은 중·노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이상의 진료인원이 많은 이유는 나이가 들면서 면역기능 저하로 인한 잦은 감기와 반복되는 기관지내 염증에 의해 미만성 기관지 확장증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기관지 확장증은 기관지 벽의 탄력성분, 근육성분의 파괴로 인해 병적으로 확장돼 있는 상태를 말하며 반복적인 기침, 발열, 다량의 농성 객담 증상을 보인다. 기관지의 염증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상기도감염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아데노 바이러스를 비롯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주요 원인이다.
증상이 장기화 되는 경우 만성적으로 저산소증이 발생해 호흡곤란과 청색증이 나타나며 드물게는 손가락 끝이 곤봉 모양으로 변하는 곤봉지가 나타나기도 한다. 예방은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막는 것이 중요하고 매년 인플루엔자 예방주사를 접종한다.
심사평가원 유세화 상근심사위원은 “예방접종만으로 감염을 예방할 수 없으므로 식사 전후, 외출 후에 양치질, 손 씻기 등 개인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초기 증상이 감기와 비슷해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아 감기 증상이 장기간 지속되거나 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즉시 전문의의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