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고도비만 보다 더 위험한 초고도비만 환자가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02년부터 2013년까지의 일반건강검진 빅데이터 1억 902만건을 활용해 고도비만 현황과 초고도 비만에 대해 성, 연령, 거주지역별로 분석했다.
초고도비만율은 2002년 0.2%에서 2013년 0.5%로 상승해 지난 12년간 2.9배 증가했고 고도비만율도 2002년 2.5%에서 2013년 4.2%로 1.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초고도비만율은 여성(0.5%)이 남성(0.47%)보다 높았고 고도비만율은 남성 4.7%, 여성 3.7%로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남성 20대(0.9%) 초고도비만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성은 30대(0.7%)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초고도비만율은 남녀 모두 20~30대에서 가장 높았고 연령이 높을수록 초고도비만율 증가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고도비만율은 남성 3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7.1%), 여성은 6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5.0%). 고도비만율 증가도 남녀 모두 20~30대에서 가장 높았고(남 2.3배, 여 3.0배) 연령이 높을수록 고도비만율 증가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거주지역별로 살펴본 결과, 지난해 기준 농어촌 지역의 초고도비만율이 0.47%로 중소도시 0.46%, 대도시 0.42%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2년 대비 2013년 초고도비만율 증가는 농어촌 2.4배, 중소도시 2.9배, 대도시 2.8배로 모든 지역에서 고도비만율 증가율(농어촌 0.7배, 중소도시·대도시 0.6배)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오상우 교수는 “20~30대의 고도비만이 급속히 늘어나는 원인 중 하나는 1980년대를 거치면서 국내에 패스트 푸드(Fast food)가 급속히 보급되고, 자가용 이용률 증가로 신체활동이 감소됐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고 있다.
복지부 건강증진과 식생활영양TF팀 조귀훈 팀장은 “비만관리를 위해 향후 건강진단의 결과통보서를 알아보기 쉽게 바꾸어 나갈 계획이다. 이는 수검자들에게 검사결과를 이해하기 쉽게 전달해 비만관리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