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조은희 기자] 앞으로 전국 주차장과 주거지 인근 도시공원 등 생활편의시설에 관한 정보가 보다 알기 쉬워진다. 안전행정부는 15일 전국의 주차장과 도시공원 명칭, 위치, 시설현황 등 상세 정보를 규정한 ‘공공데이터 개방 표준’을 만들어 고시한다고 밝혔다.
현재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에서 ‘주차장’을 검색하면, 다양한 지자체에서 개방하고 있는 주차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개방을 위한 표준이 없어 동일한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지자체별로 형식, 내용 등이 제각각 다르게 개방돼 있다.
이에 해당정보를 활용하는 개인, 기업은 부족한 데이터를 채워 넣고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 추가로 비용과 노력을 들여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앞으로는 표준에 따라 주차장과 도시공원 정보가 동일하게 개방돼 수집·가공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이 줄어들고 전국 단위의 신규 서비스 창출을 위한 기반이 마련된다.
< 도시공원정보 비표준 개방 사례 >
개방기관 |
개방 데이터 제공항목 |
서울시 |
공원명, 주소, 지역, 관리부서, 이미지, 전화번호, 위치정보(위도/경도) |
남양주시 |
공원명, 소재지, 조성년도, 면적, 시설내역, 전화번호 |
구체적으로 보면 지금껏 공영주차장 정보는 요금, 운영시간, 요일제 등 필수 정보가 누락된 경우가 많았다. 앞으로는 주차유형, 운영시간, 요금 등을 포함한 32개 항목을 개방하도록 표준화 된다. 이를 통해 인터넷 지도에 표준화된 전국 주차장 정보가 표시되고 네비게이션 등 위치기반 서비스와의 융복합도 촉진될 전망이다.
또한 도시공원 제공정보도 면적, 시설 수 등에 그쳐 활용하기 어려웠다. 앞으로는 유형(어린이, 근린, 역사 등), 소재지, 각종 시설(운동장, 동·식물원, 야외음악당 등) 등 18개 항목으로 표준화된다. 이럴 경우 시민들의 접근성·편의성이 높아지고 부동산·시설업계에서도 사업상 활용하기에 훨씬 편리해 질 것으로 보인다.
김성렬 안행부 창조정부조직실장은 “단순히 많이 개방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국민·기업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수요자 중심으로 개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이를 통해 2017년까지 데이터 5대 강국을 실현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