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지난해 7월부터 스케일링 건강보험 적용이 확대된 후 치주질환 환자의 치과 방문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치은염 및 치주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9년 742만명에서 2013년 1,083만명으로 연평균 9.9%, 진료비는 2009년 4,020억원에서 2013년 7,469억원으로 연평균 16.7%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진료인원은 29.5%, 진료비는 38.5%로 나타나 2012년과 비교해 급격히 증가했다. 월별 진료인원도 2013년 6월 1,073명에서 2013년 7월 1,714명으로 급증했다. 이는 2013년 7월부터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연 1회 스케일링(치석제거)에 대해 건강보험이 확대 적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월별 진료인원 변화 추이>
지난해 7월 이전에는 추가적 잇몸치료 및 수술을 동반한 치석제거만 건강보험이 적용됐으나 7월 이후부터 별도의 후속처치 없는 치석제거도 건강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보험 적용 전 5만원에서 보험 적용 후 1만 3천원으로 환자부담 비용이 줄어 치과 방문인원이 급증하면서 치주질환 진료인원도 급증한 것으로 추정된다.
2013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보면 60대가 3만3507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3만1463명, 70대 이상 2만5867명, 40대 2만5260명 순으로 50대 이상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연평균 증가율은 30대가 12.6%로 가장 높고 40대(9.0%), 20대 이하(8.2%), 50대(7.1%), 60대(6.2%), 70대 이상(5.0%) 순으로 나타나 젊은 층의 증가율이 높았다.
치주질환은 치아를 둘러싼 잇몸과 그 지지조직에 생기는 염증성 질환으로 치석 혹은 치태 내의 세균들이 근본원인이라 할 수 있다. 이 세균들은 음식물 잔사와 함께 치태 혹은 치석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치석 및 치태가 생물막(biofilm)으로써 작용해 치아에 붙어서 지속적으로 잇몸을 공격하게 된다.
치석 및 치태가 증가하면 치은염에서 치주염으로 진행되는데 20~30대와 비교해 50-60대의 경우 기본적인 구강관리로 쌓인 치태 및 치석 양이 많아서 치주질환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심혈관계 질환이나 호흡기 질환과 같은 각종 전신질환 및 면역력 약화로 치주질환이 발생하거나 악화되기도 한다.
치주질환은 통증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출혈, 잇몸 변색, 부종, 궤양 등의 증상은 초기부터 빈번하게 나타나므로 이런 증상이 있으면 되도록 빨리 치과에 내원하는 것이 좋다.
가벼운 치은염은 출혈 정도가 나타난다. 치아가 흔들리면 이미 상당한 치주염으로 진행돼 있을 확률이 높고 아직 치주염이 심하지는 않으나 농양이 생겨서 흔들리는 경우도 있으므로 치과에 내원해 확인해 볼 것을 권장한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치과 김영택 교수는 “주기적 스케일링도 중요하지만, 평소 개인적 구강위생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자신에게 맞는 방법으로 하루에 3번 이상, 한번에 3분 이상 칫솔질을 하는 것이 좋다. 잇몸 사이가 멀거나 음식이 많이 낀다면, 치간칫솔이나 치실 등의 보조용품 등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치주치료 후에는 주기적인 스케일링으로 치주관리를 하도록 한다. 치주질환이 심했거나 관리가 잘 안 되는 환자는 3개월에 한 번씩 내원해 스케일링하고 상태가 좋아질수록 6개월에 한 번씩 내원해 관리 받도록 한다. 치주치료의 이력이 없거나 치은염 정도라면, 1년에 한 번씩 내원하여 스케일링을 받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