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성애 기자] 자궁근종은 4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50대 이상에서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4년 간 자궁근종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9년 23만7천명에서 2013년 29만3천명으로 5.5% 증가했고 총진료비는 2009년 1,000억원에서 2013년 1,290억원으로 6.6% 증가했다.
최근 4년간 10만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보면, 10만명당 진료인원은 20대 이하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증가했다. 60대 이상의 연평균 증가율이 14.2%로 가장 크고 50대와 30대(5.2%), 40대(2.2%)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3년 기준 40대가 46.0%로 전체 진료인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최근 4년간 40대를 포함해 30대와 20대 이하는 진료인원 비중이 매년 감소한 반면 50대와 60대 이상은 진료인원과 비중이 모두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산부인과 정재은 교수는 “자궁근종의 경우 여성 호르몬과의 관계성을 볼 때 평균 50세 폐경이 된 후에는 크기 변화가 많지 않다. 이에 폐경 전인 40대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며 “특히 50~60대 진료인원이 증가한 것은 폐경 이후 호르몬 또는 호르몬 유사제재의 잦은 복용으로 질출혈 증상으로 내원해 평소 자각하지 못했던 혹을 발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고 했다.
자궁근종은 자궁 근육층을 이루는 평활근 세포의 비정상적 증식으로 인한 종양 발생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무엇이 비정상적 증식을 유도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증상은 무증상일 경우가 많지만 생리 과다, 생리통, 불임, 성교통, 골반염, 빈뇨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도 있다. 자궁근종을 방치해 크기가 커지는 경우 앞으로는 방광, 뒤로는 직장, 양 옆으로는 요관 등의 주요 장기와 유착돼 수술 시 여러 가지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월경 과다가 지속돼 빈혈이 발생하면 빈혈 초기에는 피로감, 주의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만 있다가 심하면 심부전으로 빠질 수도 있다. 또한 임신을 계획하는 환자들 중 근종 크기가 너무 커질 경우 불임이 될 수도 있다.
자궁근종은 비교적 작은 크기에서 조기 발견할 경우 자궁근종에 의한 합병증이나 수술 등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검사는 산부인과 초음파가 기본검사다. 현재 산부인과 전문의가 시행하는 자궁 초음파는 국가검진에 포함되지 않는다.
정 교수는 “많은 환자들이 국가검진에서 시행하는 자궁경부암 세포진 검사(Pap test)를 시행하면 자궁근종의 유무까지 모든 자궁에 관계된 질환이 모두 진단된다고 오해하는 부분이 있다”며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 건강검진 수검률이 높아지면서 평소 증상 없는 혹이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 국가검진을 빠지지 않고 받는 것은 물론 주기적으로 산부인과 초음파 검사를 통해 진단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