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폭식증 환자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1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폭식증’에 대한 2008~2013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했다. 이 결과, 폭식증 전체 진료인원은 2008년 1,501명에서 2013년 1,796명으로 연평균 3.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폭식증 진료인원은 2013년 기준 남성이 112명, 여성이 1,684명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진료인원은 2013년 기준으로 20~30대가 진료인원의 70.6%를 차지했다. 여성의 경우 20~30대가 여성 진료인원의 71.0%로 이 중 20대가 44.9%를 차지했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진료인원이 많지 않지만 여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20~30대가 남성 진료인원의 65.2%를 차지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선구 교수는 “20대 여성의 경우 미모와 날씬함을 강요하는 사회분위기로 인해 성형, 무리한 다이어트 등 체중이나 체형에 대한 스트레스를 가장 크게 받을 수 있다. 또한 10대 중반 거식증으로 발생한 섭식장애 환자가 폭식증으로 전환되기도 한다”고 했다.
끼니를 걸러 배가 많이 고픈 상태에서 몰아먹는 것을 흔히 과식이라고 한다. 폭식은 일정한 시간 안에 다른 사람들이 먹는 것에 비해 뚜렷하게 많은 음식을 먹으면서 음식이 조절되지 않는 느낌으로 정의한다.
폭식 후 체중증가를 막기 위해 구토하거나 설사약 등을 사용하는 부적절한 보상행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행동이 3개월 동안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2회 이상 나타나고 자신의 체중과 체형에 대해 과도하게 집착하는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폭식증은 심리적으로는 낮은 자존감이나 자신감 부족, 자신에 대한 불확실성의 문제를 음식과 체중이라는 외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것이 원인이다. 생물학적으로는 시상하부-뇌하수체 축 이상, 세로토닌, 도파민 등 신경전달물질의 기능적 이상, 렙틴과 그렐린과 같은 호르몬 이상이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료방법은 폭식을 조절하지 못하고 약물을 남용하거나 잦은 구토 자살사고 등으로 전해질 불균형 같은 내과적 문제가 함께 생기는 경우 입원치료가 필요하다. 자신의 신체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를 교정하기 위한 행동 인지적 요법과 항우울제 등을 포함한 약물치료가 도움이 된다.
이 교수는 “자기 자존감 회복과 체중 변화를 예민하게 생각하지 말고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루 세 번, 균형 잡힌 식단을 다른 사람과 함께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