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소아암 상병 중 ‘백혈병’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간의 ‘소아암’에 대한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했다. 이 결과 진료인원은 2010년 약 1만 2천명에서 2014년 약 1만 4천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2천명(12.9%)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3.1%로 나타났다.
소아암 상병 중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상병은 ‘백혈병’으로 2014년 기준 3,484명이 진료를 받아 전체 진료인원 중 22.1%를 차지했다. 이어 ‘뇌 및 중추신경계’ 11.0%, ‘비호지킨 림프종’ 10.0%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아’에서는 백혈병 비중이 22.1%로 가장 높지만 ‘전체 연령’에서는 갑상선암 비중이 18.4%로 가장 높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암 진료인원은 2014년 기준으로 10~14세 구간이 전체 진료인원의 31.5%로 가장 높고 15~17세 28.9%, 5~9세 22.1%, 5세 미만 17.5% 순이었다. 진료인원이 가장 많이 증가한 연령대는 15~17세 구간으로 2010년에 비해 1,093명이 증가해 전체 증가인원의 약 40% 정도를 차지했다. 성별로는 2014년 여성 대비 남성 진료인원의 비율은 약 1.2 정도로 성별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암 연령구간별 진료인원 비교(2010, 2014년)>
소아암은 현재까지 발생 원인이 정확히 규명되지 않고 있으나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방사선에 노출이 많은 경우, 특정 약물을 장기간 복용한 경우,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 감염이 암 발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성인에게 생기는 암과 비교할 때 소아암은 환경적인 요인과 관련되는 경우는 아주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경삼 심사위원은 “성인의 경우 건강검진으로 암 발견의 기회가 많지만 소아의 경우 검진 기회가 없어 조기에 발견하기 어렵다”며 “소아암을 조기에 발견하기는 어렵지만, 적극적인 치료로 완치율을 높일 수 있어 아이의 건강상태를 주의 깊게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